아하
검색 이미지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비뇨의학과 이미지
비뇨의학과의료상담
푸른오색조129
푸른오색조12923.12.02

남성 소변염증 및 현미경 성병검사로 무증상 성병도 검출이 가능할까요?

나이
26
성별
남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소변성병검사를 진행하였으며 소변 염증검사 결과지에 따르면 염증수치에는 따로 이상이 없다는 소견을 받았습니다. 이후 현미경으로 확인 한 결과도 염증을 발견하지 못했다고 소견을 받았습니다.

제가 궁금한 것은

1. 제가 성병에 감염되었음에도 무증상이라면 위에 진행한 염증수치 검사, 현미경 검사에서도 발견을 못할 수 있나요?

2. 만일 무증상 성병이 있다면 타인에게 옮겨질 수도 있나요?

3. 만일 무증상성병은 소변검사로 확인을 못한다면, 어떤 성병검사를 해달라고 해야지 정확히 확인할 수 있을까요?

감사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이호 의사입니다.

    1. 네, 성병에 감염되었음에도 무증상이라면, 염증수치 검사나 현미경 검사에서는 발견을 못할 수 있습니다. 일부 성병은 감염 초기에는 증상이 없거나, 증상이 있어도 일반적인 감기나 다른 질환과 비슷하여 성병으로 인식되지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따라서 무증상 성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추가 검사가 필요합니다.

    2. 네, 무증상 성병이 있다면 타인에게 옮길 수 있습니다. 성병은 성관계를 통해 전염되는 질환으로, 성관계 시 성기나 입, 항문 등 감염된 부위의 분비물이나 체액이 직접 접촉하면 감염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무증상 성병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도 성관계를 통해 다른 사람에게 성병을 옮길 수 있습니다.

    3. 무증상 성병은 소변검사로 확인이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따라서 무증상 성병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검사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 혈액검사: 혈액검사는 성병의 원인균에 대한 항체를 검사하여 성병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분비물 검사: 성기, 입, 항문 등 감염된 부위의 분비물을 검사하여 성병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조직검사: 성기, 입, 항문 등 감염된 부위의 조직을 검사하여 성병 감염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구체적으로 어떤 검사를 받아야 하는지는 성병의 종류, 환자의 증상, 위험 요인 등을 고려하여 의사와 상담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소변 검사 및 배양검사와 성병검사는 다른 개념입니다. 소변검사는 방광염 요도염 의 증거를 찾는 백혈구나 균의 모양을 보는 것이고 multiplex PCR 이 성병관련 검사이며 이 검사를 따로 요청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