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약 복용 이미지
약 복용약·영양제
집요한떄까치229
집요한떄까치22922.06.06

이소티논을 장기 복용하면 탈모 오나요?

나이
21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이소티논
기저질환

이소티논을 2개월 동안 복용하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큰 부작용이 없는데 장기복용하면 탈모 부작용이 생길 확률이 높아질까요?

그리고 이소티논 설명서 부작용란에 '드물게' 탈모라고 명시되어 있는데 여기서 '드물게'는 몇 퍼센트정도를 말하나요? 여드름 고치려다 탈모가 될까봐 무서워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윤기 약사입니다.

    드물게는 0.01%이상 0.1%미만으로 10,000명 중 1명 이상 10명미만의 이상반응 발생 확률입니다.

    이소트레티노인으로 인한 탈모는 가역성 탈모로 약을 중단하시면 다시 회복됩니다.


  • 안녕하세요. 양은중 약사입니다.

    발생빈도에 따른 분류

    매우 흔하게 : 10% 이상
    흔하게 : 1~10%
    때때로 : 0.1~1%
    드물게 : 0.01~0.1%
    매우 드물게 : 0.01% 이하

    4. 이상반응

    대부분의 이상반응은 투여량과 관련되어 나타나며, 적정량을 투여할 경우 내약성은 대체로 양호하다. 발생된 이상반응은 용량감소 또는 투약중단으로 대개 신속히 소실되나 일부는 치료종료 후에도 지속된다.

    1) 비타민 A 과다증과 관련된 증상 : 가장 흔하게 보고되는 이상반응은 점막건조증으로 피부건조, 피부손상, 가려움, 비강건조, 구순건조, 안건조 등이 포함된다. 비점막 건조로 인해 비출혈이 나타날 수 있고, 또한 인두점막 건조로 인해 목이 쉴 수 있다. 안건조로 인하여 결막염(약 40%) 및 가역성 각막혼탁이 나타날 수 있다.

    2) 발현부위별 증상은 다음과 같다.

    (1) 피부 및 부속기관


    - 매우 빈번하게 : 구순염(90%), 피진(홍반, 지루 및 습진이 포함되며 10% 미만), 가려움, 피부염, 피부박리, 피부약화(마찰로 인한 외상의 위험)

    - 빈번하게 : 손바닥 및 발바닥의 피부박리(5%), 피부감염(5%), 일광화상에 대한 감수성 증가(5%)

    - 드물게 : 가역성 탈모증(일부의 경우 지속됨)

    - 매우 드물게 : 전격성 여드름, 지속적인 박모, 다모증, 조갑주위염, 육아조직 형성이 증가하는 조갑발육이상, 광과민증, 화농성 육아종, 과색소침착, 발한, 모발이상, 화농성 진균증, 치료 초기에 여드름이 악화되어 수 주간 지속될 수 있다.

    - 빈도불명 : 안면피부염, 두드러기, 발진성 황색종, 결절성 홍반, 홍조, 파종성 단순포진, 저색소침착, 광알레르기 반응, 타박상, 비정상적 상처회복(회복지연, 가피를 형성한 과도한 과립조직 형성)(2) 근골격계


    - 매우 빈번하게 : 근육통(혈청 CPK치 상승을 동반하는 경우와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 관절통, 배통(특히 청소년)

    - 드물게 : 횡문근융해

    - 매우 드물게 : 과골화증, 관절염, 인대와 건의 석회화 및 다른 골변화, 골밀도 저하, 조기골단폐쇄(premature epiphyseal closure), 건염(3) 정신 및 중추신경계


    - 빈번하게 : 두통(5%)

    - 드물게 : 우울증, 우울증의 악화, 공격적 또는 과격한 행동, 감정의 불안정

    - 매우 드물게 : 행동장애, 자살관념, 자살시도, 자살, 정신병, 가성뇌종양(양성뇌내압상승), 발작, 졸음, 권태감

    이 약 사용과 관련하여 가성뇌종양이 일부 환자에서 보고되었다. 가성뇌종양의 초기 증후 및 증상에는 유두부종, 두통, 구역, 구토 및 시력장애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증상을 나타낸 환자에 대해서는 유두부종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발견된 경우에는 즉시 투약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고 보다 면밀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신경학자에게 의뢰한다.

    - 빈도불명 : 현기증, 불면증, 신경과민, 감각이상, 무력감, 뇌졸중, 실신(4) 감각계


    - 매우 빈번하게 : 안검염, 안구자극

    - 매우 드물게 : 시야 불선명, 눈부심, 암순응장애(야간 시력저하)(일부 경우 지속됨), 색구분장애(치료중단 시 가역적), 백내장, 각막염, 각막혼탁, 콘택트렌즈 착용곤란(일부 경우 지속됨), 특정 주파수에서의 청각장애

    - 빈도불명 : 시력장애, 시신경염, 이명(5) 위장관계


    - 빈번하게 : 비특이적 위장관계 증상(5%)

    - 매우 드물게 : 구역, 출혈성 설사, 장염, 염증성장질환(대장염, 회장염, 장출혈)이 보고되었다. 혈청 중성지방수치가 높은 환자의 경우에는 췌장염이 유발될 위험이 있다. 치명적인 급성 췌장염이 보고되었다.

    - 빈도불명 : 잇몸의 출혈과 염증, 식도염, 식도궤양(6) 간 및 담도계


    - 매우 빈번하게 : 간 트랜스아미나제수치 상승

    - 매우 드물게 : 간염

    이들 이상반응에 대한 일시적이고 가역적인 보고가 있었다. 이들 변화는 대개 정상범위였으며 치료도중 정상수치로 회복되었으나, 일부 환자에서는 용량감소 또는 투약중단이 요구되기도 하였다.(7) 호흡기계


    - 빈번하게 : 비인두염

    - 매우 드물게 : 천식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기관지경련이 보고되었다.

    - 빈도불명 : 호흡기 감염, 음성변화, 비충혈(8) 감염


    - 매우 드물게 : 그람양성균(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국소적·전신적 감염(9) 혈액계


    - 매우 빈번하게 : 빈혈, 적혈구침강속도(ESR)의 증가, 혈소판감소증, 혈소판증가증

    - 빈번하게 : 호중구감소증

    - 드물게 : 무과립구증

    - 빈도불명 : 알레르기반응, 적혈구 측정수치의 감소(10) 비뇨기계


    - 빈번하게 : 비특이적 비뇨생식기 증상(5%)

    - 매우 드물게 : 사구체신염(11) 생식기 및 유방장애


    - 빈도불명 : 월경이상, 발기부전 및 성욕감소를 포함한 성기능 장애, 여성형유방(12) 내분비 및 대사계


    - 매우 빈번하게 : 고중성지방혈증, 혈청 HDL감소

    - 빈번하게 : 고콜레스테롤혈증, 혈당수치의 상승

    - 매우 드물게 : 혈중 CPK수치의 증가, 당뇨, 고요산혈증

    - 빈도불명 : ALP, AST, ALT, GGTP, LDH의 상승(13) 심혈관계


    - 매우 드물게 : 맥관염(베게너 육아종증, 알레르기성 맥관염)

    - 빈도불명 : 심계항진, 빈맥, 혈관혈전성 질환, 뇌졸중, 일시적 흉통(14) 전신


    - 빈번하게 : 피로(5%)

    - 드물게 : 전신적 과민반응, 아나필락시 반응

    - 매우 드물게 : 림프절병증

    - 빈도불명 : 부종, 체중감소(15) 기타


    - 빈번하게 : 혈뇨, 단백뇨

    - 매우 드물게 : 육아조직(형성증가)

    - 빈도불명 : 회복지연, 임파선종, 프로락틴 증가, 요중 백혈구 및 적혈구의 검출3) 각질화 질환의 치료를 위한 고용량의 장기간 투여 시 조기골단폐쇄(소아), 과골화증, 인대와 건의 석회화를 포함한 골변화가 나타났다. 이 약의 치료를 받은 결절성 여드름 환자에서도 미미한 과골화증 및 인대와 건의 석회화가 관찰된 바 있으므로, 이 약은 중증질환에만 투여하되 투여에 따른 유익성이 위험성을 상회할 경우에 한하여 투여하도록 한다.

    4) 다른 레티노이드 제제인 에트레티네이트를 수년간 투여한 1명의 환자에서 척추의 과골화, 척추인대의 석회화 및 척주압박이 관찰된 바 있다. 이 약은 장기간 치료목적으로 사용되지 않으며, 장기간 부적절하게 투여시 이 같은 이상반응 발생의 가능성이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5) 안건조증후군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는 각막염이 드물게 보고된 바 있다. 따라서 특히, 안건조증후군이 나타나는 환자의 경우에는 이 약 투여 시 각막염 발현 여부에 대하여 모니터링해야 한다.

    6) 이 약과 연관된 다형 홍반, 스티븐스-존슨증후군, 독성표피괴사용해가 시판 후에 보고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이소티논연질캡슐10mg [Isotinone Soft Cap. 10mg] (의약품 사전)



  • 안녕하세요. 이병도 약사입니다.

    드물게 : 이상반응의 발생빈도는 ‘매우 흔하게’ (≥10%), ‘흔하게’ (≥1%, <10%), ‘흔하지 않게’ (≥0.1%, <1%), ‘드물게’ (≥0.01%, <0.1%), ‘매우 드물게’ (<0.01%)로 나타냈고

    대부분 가역성 탈모증이라 다시 머리가 납니다

    --------------------------------------------------

    이소티논을 2개월 동안 복용하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큰 부작용이 없는데 장기복용하면 탈모 부작용이 생길 확률이 높아질까요?

    - 매우 빈번하게 : 구순염(90%), 피진(홍반, 지루 및 습진이 포함되며 10% 미만), 가려움, 피부염, 피부박리, 피부약화(마찰로 인한 외상의 위험)
    - 빈번하게 : 손바닥 및 발바닥의 피부박리(5%), 피부감염(5%), 일광화상에 대한 감수성 증가(5%)
    - 드물게 : 가역성 탈모증(일부의 경우 지속됨)
    - 매우 드물게 : 전격성 여드름, 지속적인 박모, 다모증, 조갑주위염, 육아조직 형성이 증가하는 조갑발육이상, 광과민증, 화농성 육아종, 과색소침착, 발한, 모발이상, 화농성 진균증, 치료 초기에 여드름이 악화되어 수 주간 지속될 수 있다.
    - 빈도불명 : 안면피부염, 두드러기, 발진성 황색종, 결절성 홍반, 홍조, 파종성 단순포진, 저색소침착, 광알레르기 반응, 타박상, 비정상적 상처회복(회복지연, 가피를 형성한 과도한 과립조직 형성)(2) 근골격계

    - 매우 빈번하게 : 근육통(혈청 CPK치 상승을 동반하는 경우와 단독으로 나타나는 경우), 관절통, 배통(특히 청소년)
    - 드물게 : 횡문근융해
    - 매우 드물게 : 과골화증, 관절염, 인대와 건의 석회화 및 다른 골변화, 골밀도 저하, 조기골단폐쇄(premature epiphyseal closure), 건염(3) 정신 및 중추신경계

    - 빈번하게 : 두통(5%)
    - 드물게 : 우울증, 우울증의 악화, 공격적 또는 과격한 행동, 감정의 불안정
    - 매우 드물게 : 행동장애, 자살관념, 자살시도, 자살, 정신병, 가성뇌종양(양성뇌내압상승), 발작, 졸음, 권태감
    이 약 사용과 관련하여 가성뇌종양이 일부 환자에서 보고되었다. 가성뇌종양의 초기 증후 및 증상에는 유두부종, 두통, 구역, 구토 및 시력장애 등이 포함된다. 이와 같은 증상을 나타낸 환자에 대해서는 유두부종 검사를 실시해야 하며, 발견된 경우에는 즉시 투약을 중지하도록 지시하고 보다 면밀한 진단 및 치료를 위해 신경학자에게 의뢰한다.
    - 빈도불명 : 현기증, 불면증, 신경과민, 감각이상, 무력감, 뇌졸중, 실신(4) 감각계

    - 매우 빈번하게 : 안검염, 안구자극
    - 매우 드물게 : 시야 불선명, 눈부심, 암순응장애(야간 시력저하)(일부 경우 지속됨), 색구분장애(치료중단 시 가역적), 백내장, 각막염, 각막혼탁, 콘택트렌즈 착용곤란(일부 경우 지속됨), 특정 주파수에서의 청각장애
    - 빈도불명 : 시력장애, 시신경염, 이명(5) 위장관계

    - 빈번하게 : 비특이적 위장관계 증상(5%)
    - 매우 드물게 : 구역, 출혈성 설사, 장염, 염증성장질환(대장염, 회장염, 장출혈)이 보고되었다. 혈청 중성지방수치가 높은 환자의 경우에는 췌장염이 유발될 위험이 있다. 치명적인 급성 췌장염이 보고되었다.
    - 빈도불명 : 잇몸의 출혈과 염증, 식도염, 식도궤양(6) 간 및 담도계

    - 매우 빈번하게 : 간 트랜스아미나제수치 상승
    - 매우 드물게 : 간염
    이들 이상반응에 대한 일시적이고 가역적인 보고가 있었다. 이들 변화는 대개 정상범위였으며 치료도중 정상수치로 회복되었으나, 일부 환자에서는 용량감소 또는 투약중단이 요구되기도 하였다.(7) 호흡기계

    - 빈번하게 : 비인두염
    - 매우 드물게 : 천식의 병력이 있는 환자에서 기관지경련이 보고되었다.
    - 빈도불명 : 호흡기 감염, 음성변화, 비충혈(8) 감염

    - 매우 드물게 : 그람양성균(황색포도상구균)에 의한 국소적·전신적 감염(9) 혈액계

    - 매우 빈번하게 : 빈혈, 적혈구침강속도(ESR)의 증가, 혈소판감소증, 혈소판증가증
    - 빈번하게 : 호중구감소증
    - 드물게 : 무과립구증
    - 빈도불명 : 알레르기반응, 적혈구 측정수치의 감소(10) 비뇨기계

    - 빈번하게 : 비특이적 비뇨생식기 증상(5%)
    - 매우 드물게 : 사구체신염(11) 생식기 및 유방장애

    - 빈도불명 : 월경이상, 발기부전 및 성욕감소를 포함한 성기능 장애, 여성형유방(12) 내분비 및 대사계

    - 매우 빈번하게 : 고중성지방혈증, 혈청 HDL감소
    - 빈번하게 : 고콜레스테롤혈증, 혈당수치의 상승
    - 매우 드물게 : 혈중 CPK수치의 증가, 당뇨, 고요산혈증
    - 빈도불명 : ALP, AST, ALT, GGTP, LDH의 상승(13) 심혈관계

    - 매우 드물게 : 맥관염(베게너 육아종증, 알레르기성 맥관염)
    - 빈도불명 : 심계항진, 빈맥, 혈관혈전성 질환, 뇌졸중, 일시적 흉통(14) 전신

    - 빈번하게 : 피로(5%)
    - 드물게 : 전신적 과민반응, 아나필락시 반응
    - 매우 드물게 : 림프절병증
    - 빈도불명 : 부종, 체중감소(15) 기타


  • 안녕하세요. 김수재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은 이소트레티노인이 함유된 여드름치료제입니다.

    해당 약의 경우 간혹 피부에 발진이나 알러지 증상 생길 수 있으며 ,이러한 증상이 두피에 생기면 탈모가 생길 가능성 있습니다.

    약 먹고 지금까지 피부에 증상 생기지 않았으면 일반적으로 탈모 생기지 않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드물게는 보통 약물이상반응 발생 가능성이 0.1% 미만으로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조영지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을 장기간 복용한다고 해서 탈모로 이어지는 경우는 거의 없으며 직접적으로 탈모와 연관성이 떨어집니다. 이소티논 설명시 부작용란에 드물게라는 것은 임상 시험 과정에서 유의미하게 탈모로 이어진 케이스가 없다는 것을 의미하며 확률로 퍼센트를 산정하기도 힘든 정도입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이민석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은 비타민A 유도체로서 비타민A가 과하면 탈모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걱정되시면 안먹는게 낫습니다. 드물게는 (≥1/10000, <1/1000) 정도로서 0.01%~0.1% 로 나타난다고 보면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세라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은 장기 복용 시 간손상을 유발할 수 있으며 드물게는 탈모를 유발 가능합니다. 다만 이는 개인차가 굉장히 심하기 때문에 몇퍼센트라고 장담드릴 수 없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심주영 약사입니다.

    이소티논같은 이소트레티노인 성분의 약은 탈모가능성을 높입니다. 비타민A 과다증에 의한 증상이며 대부분 중단하면 탈모가 회복되지만 일부는 오래 지속하는 경우도 있어요.

    이소티논에 의한 탈모는 1회 복용량이 많을수록 위험성이 증가하며 하루 1~2알정도라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기영 약사입니다.

    약품부작용에 탈모가 명시되어 있으므로 장기 복용시 탈모부작용 확률이 올라가지 않는다고 말씀드리기 어렵습니다.

    드물게는 0.1% 미만, 즉 1000명중에 1명 이하일때 입니다.

    답변이 도움되셨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송정은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을 2개월 동안 복용하고 있는데 지금까지는 큰 부작용이 없는데 장기복용하면 탈모 부작용이 생길 확률이 있으며 이는 개인마다 다르기에 반드시 의사와 현재 상태를 확인후 복용을 하길 권장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병열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의 부작용 중 탈모가 있긴합니다. 사람마다 다르기때문에 누구나 나타나는 것은 아닙니다.

    - 매우 흔하게: ≥1/10

    - 흔하게: ≥1/100, <1/10

    - 흔하지 않게: ≥1/1000, <1/100

    - 드물게: <1/1000

    드물게는 1000명중 1명 이하로 나타날때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경민 약사입니다.

    이소티논에서 탈모가 유발되는 원리는 결국 피부가 건조해져서입니다.

    건조한 피부때문에 모근 및 근처에 염증이 생기게 되고 탈모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이소티논 장기복용에 의해 탈모가 일어나는 비율은 3~6%정도로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