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카메라옵스큐라?에 대해 궁금한게 있어서요.

카메라에 대해 평소궁금한게 카메라의 원래 어원이 옵스큐라?라고 언뜻 들었던거같은데 맞는건지요. 요즘 카메라가 옵스큐라와 같은말인지 용어 정립이 안되서요.아시는분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흰검은꼬리63
      흰검은꼬리63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카메라가 발명되기 훨씬 이전인 BC 4C에 아리스토텔레스가 태양의 일식을 관찰하면서 암상자의 원리에 주목하면서부터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이 암상자의 원리 즉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와도 같은데 어두운 방의 한쪽 벽 가운데에 작게 뚫린 구멍을 통하여 들어오는 빛이 방 바깥쪽 세상에서 일어나는 장면들 예를 들면 원근감 다양한 색채 그림자 미세한 움직임 등의 구멍의 맞은편 벽면에 거꾸로 맺히는 것을 말한다. 이 암상자에 빛이 들어오는 구멍이 커지면 커질수록 상은 흐려지고 작아질수록 상이 선명해지는 특징을 가지고 있는데 이것은 지금의 카메라 조리개 역할과 같은 것으로서 그 구멍을 가리켜 ‘바늘구멍’이라고 불렀다. 이와 같은 카메라 옵스큐라의 원리에서 바늘구멍의 크기에 의해 이미지가 뚜렷해지는 것에 착안하여 어떻게 하면 더 사실적이고도 뚜렷한 상을 얻을 수 있을까 연구하면서 초기의 카메라 옵스큐라에서 한 단계 발전시켜 렌즈를 부착하게 되었다. 이보다 조금 더 발달된 형태는 현대적인 반사경식 카메라를 닮은 것으로 기존의 상자 맞은편에 상이 맺혀지는 것이 아니라 상자 윗 부분에 젖빛 유리가 씌워지고 그 바로 밑에 45도 각도로 거울을 위치시켜 빛이 렌즈->거울->반사->유리를 거쳐 상을 맺게 하였다.처음 카메라 옵스큐라는 큰 방 형태로 만들어져서 오두막 형태로 그리고 오두막 형태에서 가마형태로 천막형태로 그 크기가 점차 줄어들게 되었다. 17세기에는 이동형 암상자 카메라 옵스큐라가 사용되었고 화가들은 텐트 안 어둠 속에 앉아 꼭대기에 설치된 렌즈와 거울에 의해 만들어진 상을 관찰하고 도화지위에 연필로 따라 그렸다. 화가들에겐 창의적 미를 추구하되 사실적인 묘사와 원근법을 기본으로 할 것이 요구되어졌는데 여기서 카메라 옵스큐라는 무엇보다도 사실적인 표현과 원근법을 쉽게 할 수 있도록 도와줄 수 있었기에 화가들이 사용하였다. 그리고 일반인들이라 할지라도 그대로 따라 그리기만 하여도 그림이 완성되는 놀라운 위력을 보여주었다. 특히 서투른 화가들에게 예술적 결함을 메워줌으로써 현실을 포착하고 사실적인 묘사를 가능하게 해주는 데 도움을 주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 카메라오브스쿠라


      어두운 방 한쪽 벽면에 난 작은 구멍을 통해 빛을 통과시키면 외부의 풍경이 반대쪽 벽면에 거꾸로 비치는 원리 혹은 이 원리를 이용해 만든 기구를 말한다.


      -> 카메라 오브스쿠라는 사진기의 원형으로도 의미가 있다. 초기의 카메라 오브스쿠라는 렌즈가 없는 핀홀카메라 형태였으나, 보다 선명한 상을 구현하기 위해 렌즈가 활용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카메라 옵스큐라는 고대부터 사용된 자연 현상으로 인간이 이 기술을 점차 개선하여 발전된 광학 도구로 사용되었습니다. 우리가 아는 카메라도 바로 이 원리로 시작하구요.

      하지만 디지털카메라가 발전되면서 이 기법보다 더 발전된 기술을 사용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