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저축성 보험 이미지
저축성 보험보험
명랑한오릭스84
명랑한오릭스8421.04.30

연금보험/30년만기보험등의 실제 보장성은?

관련 종사자분께솔직히 묻고 싶습니다.

연금보험이나 중도해약시 원금보장 어려운 장기 저축형 보험상품 등을 만기까지 유지한다고 가정했을때

보장성이 유익할까요?

2~30년뒤 1억이 지금의 1억과 가치가 다를텐데

30년 뒤의 보장금액이 얼마나 효용가치가 있을지

회의가 드네요.

30년전 짜장면가격이 1천원을 살짝 웃도는 가격임을 생각하면

물가상승이나 인플레/ 화폐가치 변동 등을 고려하지 않는 1억만들기 상품은

'장기적금' '복리이자'라는 타이틀을 갖다붙힌

'꾸준히 삥 뜯어서 푼돈 돌려주기' 라는 느낌이 드는데요.

솔직히 올바른 노후대책인지 묻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지성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간단하게 답변 드리겠습니다 .

    제가 그래서 생명사를 실어합니다 참고로 저도 생명 팔수있지만 한건도 안팜니다 .

    생명사 종신보험 ,변액상품 .유니버셜 등등

    지금 들어봐야 나중에 어떻게 써먹을지 모르는데 그돈을 다른데로 투자하세요 차라리 땅을 사거나 (오를지 안오를지는모르지만 언젠간 오르겠죠) 아님 운용 가능하도록 은행에 두세요 (이율 쥐꼬리라 추천은 ...) 등등 가지고 게셔야지

    예시로 나중에 매달 50씩 받는 연금 가입했습니다 .

    그당시 50이 지금의 5만원의 가치이면요???

    뭔의미가 있어요?? 차라리 저라면 가입할 금액으로 금을 사거나 주식 .비트코인을 하고 말겠습니다 .

    올바른 노후대책은 보험에서 찾는것이 아니라 금융쪽으로 눈을 돌리세요

    보험이란 노후대책은 비갱신으로 나의 아픈 몸 치료시 손해를 최소화 해주기만 하면 그것이 보험의 이치입니다 .

    생명은 너무 돈돈 하기만하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승범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 주신 내용에 대해서 고민하셨다면 이미 답을 잘 알고 계신듯 합니다.

    화폐가치를 고려하지 않은 1억은 절대 올바른 노후대책이 될 수 없습니다.

    하지만 본인이 1억이라는 돈을 다른방법으로 만들어내고 모아갈 수 있다면 가능한 방법을 쫓아가는게 맞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은정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억 모으기 위해 보험을 가입하셨고 별도로 보장성보험을 가입했다면 잘 하셨다고 봅니다 고객님 말처럼 향후 10년,20년후에는 물가 상승률이나 인플레이션 화폐가치로 인해서 1억이라는 금액이 20년후에는 5천만원의 가치만 될수있는 확률이 높지만 향후 노후가 되어 1억이라는 돈이 있다면 노후생활에 든든한 버팀목이 될겁니다 고객님 말처럼 꾸준히 삥 뜯어서 푼돈 돌려주기라고 했는데 제가 보기엔 고객님 처럼 생각한다면 어떻게 돈을 모을수 있을까요 모든 은행이나 보험사나 그리고 수익을 굴러서 돈을 모은다는것은 다 똑같다고 봅니다 다수의 사람들이 입금한돈으로 수익을 내어 수익구조에 참여한 사람에게 돌려주는 구조라는 거죠 이런게 싫다면 적금 보험 등은 안하시는것도 좋을듯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수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문자님이 말씀하신 내용이 틀린야기는 아닙니다.

    하지만 연금보험 상품이 일반적금 대비 수익율이 좋은것도 사실입니다.

    나중에 받는 돈이 가치가 떨어지면 그만큼 월보험료도 가치는 떨어지는건 동일합니다.

    화폐가치를 따지면 부동산, 주식 등에 투자를 하셔야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5.01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미래의 화폐가치가 현재와는 다르기 때문에 현재 큰 금액이라도 미래에는 그리 큰 금액이 아닐 수 있습니다.

    그러나 매달 꾸준히 노후를 대비하기는 쉬운 일이 아니기 때문에 연금보험에 의한 노후대책도 좋은 방법이기는 합니다.

    연금보험등 장기 보험 가입시에는 보험료가 장기적으로 납부 가능한지(현재는 부담이 없어도 나중에 부담이 생기는 경우가 많아)와 보험회사 사업비가 어느 정도인지 (사업비가 생각보다 많이 나갑니다)를 꼭 검토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보험 분야 지식답변자 이지원 보험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저축성보험을 추천해 드리고 싶습니다.

    목돈마련이나 노후생활자금을 대비해주는

    보험상품으로 납입한 보험료보다

    만기시 지급되는 금액이 더 큰 보험상품 입니다.

    저축성보험은 보통 금리가 적금 이자보다 1%이상 높고,

    이자에 이자가 붙는 복리가 적용됩니다.

    게다가 10년동안 유지하면

    15.4% 이자소득세가 면제되는

    비과세 혜택도 장점이라고 할 수 있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