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의 한국은행의 기능은 무엇인가요?
미 연준은 재할인률을 결정하고 공개시장운영과 지준율 조정, 지준에 대해 지급하는 이자율 조정 등으로 경제에 개입하는데요. 한국은행은 연준과 기능이 다른점이 존재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의 기능은 한국 내 통화·신용 정책의 연구 및 결정, 국내외 경제·금융 조사, 금융시스템 건전성 관리, 지급결제시스템 관리, 경제통계 산출, 원화 발권[7], 외환보유액의 관리, 국제금융기구와의 협력 등을 담당하며, 통화량 조절과 물가 관리를 위한 공개시장운영(기준금리 조절)과 여수신제도, 지급준비율 제도 등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의 한국은행의 기능에 대한 내용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국은행이 곧 중앙은행이기 때문에
미국 연준이 하는 일들의 대부분을 한국은행에서도 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우리나라의 중앙은행으로, 그 주요 기능을 크게 네 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첫째, 통화정책을 통해 물가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삼으며, 기준금리 조정, 지급준비율 변경, 공개시장조작 등 다양한 방법으로 시중 유동성을 관리합니다. 둘째, 지급결제제도를 총괄하고 관리하며, 금융기관 간 결제 시스템(한은금융망)을 운영함으로써 금융시장의 핵심 역할을 수행합니다. 셋째,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위해 금융기관에 자금을 지원하고, 필요한 경우 검사와 감독을 실시합니다. 넷째, 정부의 국고금 관리, 외환시장 개입, 경제통계 작성 등 다양한 부가적 기능도 담당합니다.
미 연준과 비교했을 때, 연준은 '최대 고용과 물가안정'이라는 이중 목표(Dual Mandate)를 가지고 있지만,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에 더욱 중점을 둔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습니다. 또한, 연준이 국채 매입을 통해 시장에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반면, 한국은행은 기준금리와 지급준비율 등 전통적인 통화정책 수단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경향이 있습니다. 환율 안정과 외환시장 개입 측면에서도 한국은행이 더 적극적입니다. 요약하자면, 두 중앙은행 모두 경제 안정과 금융시스템의 건전성을 목표로 하지만, 정책 목표의 우선순위, 시장 개입 방식, 글로벌 영향력 등에서 뚜렷한 차이를 보입니다.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은 통화정책을 통해 물가안정을 도모하고, 지급결제제도 운영, 금융안정 유지, 국고 및 외환관리 등 국가 경제의 안정적 성장을 지원하는 중앙은행 역할을 수행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훈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 기능을 간단히 요약해보면,
기준금리를 조절하고, 물가안정을 관리하는 역할을 합니다.
화폐발행을 담당합니다.
시중은행이 자금을 빌릴 수 있는 최종 대부자의 역할을 합니다.
정부의 에산 수입과 지출을 관리하는 정부의 은행 역할을 합니다.
미국의 연준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는데, 일부 차이는 있습니다.
한국은행은 물가안정에만 초점을 맞춘다면, 연준은 물가안정과 최대고용을 목표로 하며,
독립성 부분에서도 연준이 더 강한 독립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과 같은 경우
통화 및 금리 등 이러한 우리나라의
금융 관련 정책의 전반적인 것을
관장한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