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신기한여새122
신기한여새122

방귀가 나오는 이유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사람이면 누구나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누구나 방귀를 낄텐데 이러한 방귀는 몸에서 어떤작용이 일어나 나오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방귀'란 항문으로부터 방출된 가스체를 말하며, 음식물과 함께 입을 통해 들어간 공기가 장내용물의 발효에 의해 생겨난 가스와 혼합된 것입니다. 즉, 방귀는 몸속에 있는 장내미생물이 체내 대사 활동에 관여하면서 빚어내는 부산물인 것입니다. 이때 방귀의 양은 입을 통해 위로 들어간 공기의 양에 의해 좌우되는데요, 음식을 빨리 먹는 사람은 입을 통해 위에 들어가는 공기의 양이 많아 지기 쉬우므로 방귀의 양도 많은 경향이 있습니다. 또한 식후 바로 잠을 자면 방귀가 많아질 가능성이 높으며, 위에서 음식물과 공기가 분리되려면 식후 30분에서 1시간 정도가 소요되는데 바로 눕게 되면, 위의 입구가 소화 중인 음식물로 막혀서 공기가 트림으로 빠져나갈 수 없게 됩니다. 즉 사람이 서 있는 상태에서는 공기가 트림으로 빠져나가는 한편, 누워 있으면 공기가 음식과 함께 위의 출구에서 장으로 흘러 들어 방귀가 되어 나오는 것입니다. 또는 음식물이나 변비 등으로 장내발효가 쉽게 일어나는 상태가 되면 방귀는 더 늘어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음식물이 소화되면서 장내 세균이 음식물의 일부를 분해하는데 이 과정에서 가스가 생성됩니다. 이 가스가 방귀로 배출됩니다.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은 소화가 어렵고,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될 때 많은 가스를 생성합니다.

  • 방귀는 소화 과정에서 발생한 가스가 몸 밖으로 배출되는 현상입니다. 음식물이 소화되면서 장 내 미생물들이 음식물을 분해하는데, 이 과정에서 메탄, 이산화탄소, 수소 등의 가스가 생성됩니다. 또한, 공기를 삼키거나 특정 음식을 섭취할 때 발생하는 가스도 방귀로 배출될 수 있습니다. 이 가스들이 장 내에 축적되면 자연스럽게 몸 밖으로 나가려는 작용이 일어나 방귀로 배출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방귀는 자연적인 생리 현상입니다. 몸속에 있는 장내 미생물이 체내 대사 활동에 관여하면서 빚어내는 부산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음식물이 소화되면서 장내 세균에 의해 분해되는데, 이 과정에서 가스가 생성됩니다. 특히 섬유질이 많은 음식(콩, 브로콜리 등)은 장내 세균에 의해 발효되어 더 많은 가스를 발생시킵니다. 음식을 먹거나 마실 때 공기를 함께 삼키게 되며, 이 공기가 위장과 장으로 이동하면서 가스를 형성합니다.

  • 우리가 먹은 음식은 소화 과정을 거치면서 장내 세균에 의해 발효됩니다.

    이 발효 과정에서 수소나 메탄, 이산화탄소 등의 가스가 생성되는데, 이 가스들이 장을 채우다가 항문을 통해 밖으로 배출되는 것이 바로 방귀입니다.

    보통 콩, 양배추, 브로콜리 등 가스를 많이 발생시키는 음식 섭취 또는 탄산음료나 껌 씹기 등이 방귀를 유발할 수 있으며 소화가 잘 되지 않을 때 장내 가스가 많이 발생하여 방귀가 자주 나올 수 있습니다. 또 장내 세균의 불균형은 가스 생성을 증가시켜 방귀를 유발할 수 있죠.

    하지만, 방귀는 매우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