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화학

이스파라거스
이스파라거스

O₂는 어떤 조건에서 O로 분해되나요?

저는 산소는 O₂로만 존재한다고 학교에서 배웠는데 오존이 산소 원자 3개로 이루어져있더라구요.

그래서 좀 알아보니까 O₂가 O로 분해되었을 때 산소랑 결합해서 어쩌구 저쩌구 하더라구요.

산소가 분해되는 건 자외선 때문인건가요?

그렇다면 산소는 열분해가 되는건가요?

그외에도 산소는 어떤 조건에서 분해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산소 분자(O₂)가 원자 산소(O)로 분해되는 과정은 주로 자외선(UV) 빛에 의한 광분해(photodissociation)를 통해 일어납니다. 이 현상은 대기 중의 산소 분자가 자외선에 노출될 때 발생하며, 특히 태양광 중 자외선의 에너지가 파장 240 nm, 이하일 때 산소 분자는 두 개의 산소 원자로 분해됩니다. 이러한 반응은 고도가 높은 대기층, 즉 성층권에서 주로 관찰됩니다.

    O₂ + 광(자외선) → 2O

    생성된 원자 산소는 다른 산소 분자와 반응하여 오존(O₃)을 형성할 수 있습니다. 이는 오존층 형성의 주된 메커니즘으로, 오존층은 지구를 자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합니다.
    산소의 열분해(thermal decomposition)는 매우 높은 온도에서 산소 분자가 원자로 분해되는 현상으로, 이 과정은 주로 실험적 환경에서 관찰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지구의 환경 조건에서는 이러한 고온이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으므로, 대기 중에서 산소의 열분해는 미미합니다.
    또한, 전기분해(electrolysis)를 통해서도 산소 분자를 분해할 수 있습니다. 물(H₂O)을 전기분해할 때 산소와 수소가 생성되는데, 이 과정에서 방출되는 산소는 주로 분자 상태(O₂)로 존재하지만, 특수한 조건 하에서 원자 산소(O)가 생성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