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가 연준의장 파월에게 금리인하를 강요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트럼프의 관세정책으로 주식 손실이 커서 짜증나는데 어제는 트럼프가 계속 연준의장 파월에게 금리인하를 강요했다고 해서 주가가 또 떨어지더군요. 트럼프는 왜 금리인하를 연준의장에게 강요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대통령이 파월에게 금리 인하를 강요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기업이 활동을 하거나 투자 등을 할 때에
기준 금리가 높은 것 보다는 낮은 것이 유리하기 때문에 그렇습니다.
다만, 이런 기준 금리는 임의대로 올리고 내릴 순 없습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금리 인하를 통해 경기를 활성화시키고 주식을 상승시키면서, 국채 이자 부담은 줄이고, 경제 대통령 이미지도 챙기려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는 관세 정책으로 시장의 불안정성이 확대되어 투자시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자 이를 상쇄하기 위해 금리인하를 압박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가 연준의장 파월에게 금리인하를 강하게 요구하는 이유는 자신의 관세 정책으로 인해 경기 둔화와 주식시장 하락 우려가 커졌기 때문입니다. 최근 트럼프가 도입한 대규모 관세는 수입 물가를 올려 인플레이션 압력을 높이고, 기업과 소비자의 부담을 키워 경기 둔화 가능성을 높이고 있습니다. 트럼프는 이런 상황에서 연준이 금리를 빨리 낮춰야 소비와 투자가 살아나고, 경기 침체를 막을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또한 트럼프는 유럽중앙은행 등 주요국 중앙은행들이 이미 금리를 내렸다는 점을 들어, 미국도 선제적으로 금리를 인하해야 한다고 압박하고 있습니다. 그는 "물가가 안정됐으니 이제는 금리도 내릴 때"라고 강조하며, 파월이 금리 인하를 미루면 경제가 더 둔화될 수 있다고 경고합니다.
결국 트럼프의 금리인하 요구는 자신의 관세 정책이 초래한 경기 불안과 시장 충격을 완화하고, 정치적으로도 경기 부양 성과를 내기 위한 목적이 큽니다. 하지만 연준은 관세로 인한 인플레이션 우려와 중앙은행의 독립성 문제로 신중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어, 양측의 갈등이 시장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종우 경제전문가입니다.
개인적으로 여러가지 비하인드 이유가 있다고 생각 하지만 우선 표면적으로는 금리 인하로 현재 관세 정책으로 인한 미국 경기 하락을 극복하고 소비를 촉직하며 그리고 달러 약세를 유도해 수출에도 유리한 상황을 만들려는 것 입니다.
하지만 독립성을 강조하는 연준의 입장에서는 트럼프의 강요를 외압으로 간주 될 수 있기에 시장 불안으로 이어지고 있는 상황 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과의 무역 전쟁을 비롯한 보호무역주의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달러 강세는 미국 수출 기업의 경쟁력을 약화시키고 무역 적자를 심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금리 인하는 달러 가치를 낮추는 효과가 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금리 인하를 통해 달러 약세를 유도하고, 미국 수출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려 했던 것으로 분석됩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연준의 금리 인상이 달러 강세를 부추겨 미국 제조업에 타격을 주고 있다고 주장했습니다. 연준은 정치적 압력으로부터 독립적으로 통화 정책을 결정하도록 설계되어 있습니다. 파월 의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연준의 독립성을 강조하며 신중한 통화 정책 결정을 유지하려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