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

조선시대 직전세에 대해 궁금합니다

조선시대 성종이 관수관급제를 폐지하고

직전세로 바꾸었다고 알고 있습니다

직전세라는 것은 어떤 방식으로 조세를 걷는 것인가요?


관수관급제와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도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70년(성종 1) 현직관료에게 지급된 직전의 경작농민에게서 정부가 직접 받아 관료에게 주었던 전조(田租). 이전의 과전법은 기본적으로 토지와 노동도구를 소유한 경작농민의 노동생산물을 수조권에 입각하여 정치적·신분적으로 수취하는 정치 경제적 체제였다. 따라서 수조자인 전주(田主)와 경작농민인 전객(佃客) 사이의 대립관계가 형성되었고, 이는 결국 지배계급인 양반관료층과 피지배계급인 경작농민층의 대항관계로 나타났다. 전주의 과도한 전조(田租) 징수가 직전 설치 후 더욱 심화되자, 전주·전객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직전의 전조를 정부에서 직접 거두어 정부가 전주에게 준다는 관수관급제(官收官給制)가 마련된 것이다. 이로써 토지에 대한 전주의 직접적인 권한 행사를 차단할 수 있었지만, 전객농민은 전조를 경창(京倉)까지 직접 수송해야만 했다.

    [네이버 지식백과] 직전세 [職田稅] (한국고중세사사전, 2007. 3. 30., 한국사사전편찬회)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470년 현직관료에게 지급된 직전의 경작농민에게서 정부가 직접 받아 관료에게 주었던 전조로 이전의 과전법은 기본적으로 토지와 노동도구를 소유한 경작농민의 노동생산물을 수조권에 입각해 정치적, 신분적으로 수취하는 정치 경제적 체제였기 때문에 수조자인 전주와 경작농민인 전객 사이의 대립이 있어 결국 지배계급인 양반관료층과 피지배계급인 경작농민층의 대항관계로 나타납니다.

    전주의 과도한 전조 징수가 직전 설치 된 후 더욱 심화되자 전주, 적객의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 직전의 전조를 정부에서 직접 거두어 정부가 전주에게 준다는 관수관급제가 마련되었고 이에 토지에 대한 전주의 직접적인 권한 행사를 차단할수 있었지만 전객농민은 전조를 경창까지 직접 수송해야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