튀르키예를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는 이유는 뭔가요?
튀르키예(터키)를 2002년 월드컵때 형제의나라
라고 들었는데 6.25전쟁시 파병을해서 그런가요?
아님 역사적으로 다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튀르기에는 돌궐이라 해서 고려 고구려 시기에 우리나라를 도와서 외적과 맞써 싸웟을 뿐만 아니라 6 25 때 먼저 많은 군사를 파견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태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튀르키와 이란은 지리적으로 가깝고, 역사적으로도 많은 문화 교류를 하였기 때문에 형제 나라라는 표현이 사용되곤 합니다. 또한 이란의 많은 지역에서는 구전으로 튀르키예를 "형제"라는 뜻으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관계는 이란의 다른 이슬람 국가들에 비해 특히 튀르키와 더욱 긴밀하게 유지되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터키가 형제의 나라인 것은 돌궐에서 찾아볼수 있습니다.
과거 돌궐이 흥하던 시기 우리나라에는 고구려가 있었고 고구려 - 돌궐 연합으로 당나라와 싸웠던 기록이 있습니다.
연개소문장군은 돌궐 공주와 혼인할 정도로 돌궐과 고구려의 관계는 동맹관계였습니다.
이 돌궐인들이 향후 여러곳으로 이주하여 여러 투르크계 국가를 건설하는데 대표적인 국가가 바로 터키입니다.
터키에서는 돌궐을 자신들의 조상이라 생각하고 있으며 그들의 뿌리와 기원에 자긍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또, 한국전쟁을 기점으로 우호적인 관계가 완성되는데 6.25전쟁 시 터키는 대한민국을 지원해 연합군으로 참전하게 되며 참전국중 4번째로 많은 수의 병력을 파병하여 당시 여러 공을 세웠습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튀르키예를 형제의 나라라고 부르는 이유는 역사적으로 터키와 아제르바이잔이 서로 밀접한 관계를 맺어왔기 때문입니다. 이들은 공통의 역사와 문화적 배경을 가지고 있으며, 이러한 공통점으로 인해 서로 형제의 나라라는 말을 자주 사용합니다.
튀르키예는 터키어와 아제르바이잔어를 뜻하며, 두 나라 모두 터키계 민족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또한, 이들은 공통의 종교인 이슬람을 믿고 있으며, 과거에는 오스만 제국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역사적으로도 밀접한 연관성이 있습니다.
튀르키예는 또한 이들 나라가 서로 도움을 주고받으며, 경제적 교류와 문화 교류를 활발히 이어가고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형제의 나라라는 말이 사용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