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전기·전자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

거짓말 탐지기는 어떤 과학적인 원리를 가지고 발명된 건가요?

거짓말 탐지기라는게 있는데요.

거짓말이라는건 사람의 심리에 달려잇는건데 이것을 기계를 통해 알아낸다는 것이 흥미롭습니다.

이런 탐지기는 어떤 원리를 가지고 발명된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신기한친칠라145
    신기한친칠라145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공식적인 명칭은 '폴리그래프(Polygraph)' 이며 인간의 맥박, 호흡, 손에 흐르는 땀 등을 읽어내서 그래프로 나타내는 기계. 거짓말을 할 경우 마음이 불안해지므로 손에 땀이 나고 호흡이 가빠지며 심장 박동과 뇌파가 빨라지는 등 신체적인 반응이 나타나 그래프의 변동이 심해진다.


    기계화 이전에도, 오래전부터 세계 곳곳의 판관들은 나름대로 거짓말을 탐지해 내는 방법들을 가지고 있었는데, 가령 중국의 경우, 죄인에게 쌀을 씹게 해서 쌀에서 침이 상당히 배어나면 그 증언이 거짓말이라 보았고, 아랍인, 특히 베두인에게 내려오는 관습에 의하면, 증언을 마친 죄인에게 불에 달군 쇳덩어리를 혓바닥에 1초도 안 되는 정도의 아주 잠깐의 찰나 동안 갖다 댄 다음, 혓바닥에 탄 자국이 남지 않으면 거짓말을 한 것으로 보았다. 거짓말을 하거나 긴장할 때 입 안에 침이 고인다는 사실을 알고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불에 달군 쇳덩어리를 혀에 갖다대는 것 자체가 극심한 긴장을 유발하므로 정확한 결과를 얻을 수 없는 방식이었다. 사실상의 고문.


    이제는 기계를 사용하기 때문에 좀 더 정확해졌다. 현대적인 거짓말 탐지기는 수축 혈압 측정이 도입되면서 본격적으로 대두했다. 수축 혈압과 거짓말을 하고 있는 가능성 사이의 상관관계를 증명한 사람은 윌리엄 몰튼 마스턴으로, DC 코믹스의 여성 히어로인 원더우먼의 창시자이기도 하다.[1] 이후 기술이 발달하면서 손에 흐르는 땀[2]과 맥박을 이용한 거짓말 탐지기도 있고, 눈동자가 흔들리는지, 표정이 어떻게 변하는지, 뇌파가 어떻게 변하는지 등을 이용한 장치도 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거짓말탐지기는 심박, 호흡수, 맥박등을 실시간으로 관측하면서 대화를걸었을 때 거짓말을 하면 해당 수치들이 급격히 변화하는 특징을 통해 유추하는방법입니다.

  • 거짓말은 스트레스와 관련된 신체 반응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거짓말 탐지기는 심박수, 호흡 패턴, 혈압, 피부 전도도 등의 신체 반응을 측정하고 분석하여 거짓말을 감지합니다. 이러한 기술은 폴리그라프 검사(Polygraph Examination)로 잘 알려져 있습니다.

    거짓말은 말하는 방식, 언어 선택, 문장 구성 등에 특정한 패턴을 보일 수 있습니다. 언어 분석을 통해 문장의 구조, 어휘 사용, 강세, 의미 등을 분석하여 거짓말의 가능성을 평가합니다. 컴퓨터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언어 분석을 자동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신체 반응 감지: 거짓말은 때때로 스트레스, 긴장, 불안과 같은 신체적 반응을 동반할 수 있습니다. 신체 반응 감지 기술은 심박수, 호흡, 피부 전도도 등을 측정하여 신체적인 스트레스 반응을 감지하려는 것입니다.

    2. 언어 분석: 언어 사용에는 거짓말을 탐지하는 단서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문법적인 오류, 단어 선택, 문장 구조 등을 분석하여 거짓말 가능성을 평가하는 기술과 알고리즘이 개발되었습니다.

    3. 뇌파 분석: 신경과학 기술을 사용하여 뇌의 활동을 분석하여 거짓말과 진실을 구분하려는 연구가 진행 중입니다. 뇌파 분석은 특정 뇌 영역의 활동 패턴을 측정하여 거짓말을 탐지하려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