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기타 의료상담 이미지
기타 의료상담의료상담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0.09.02

카페인이 몸에 맞지 않는 사람은 카페인을 안먹어야 하나요?

커피, 녹차, 커피 우유 등 카페인이 조금이라도 들어간 음료를 마시면 잠을 자기 힘든 사람입니다. 이런 사람은 카페인이 몸에 맞지 않는건가요? 아니면 몸에서 카페인을 해독하는 작용이 안되는 건가요? 몇년전에는 바닐라라떼 대용량으로 먹은 후 심장박동수가 빨라지고 몸이 덜덜 떨려서 응급실까지 갔다왔었고, 그 이후로 커피는 쳐다보지도 않네요. 근데 녹차는 좋아해서 녹차라떼는 가끔 마시는데.. 저 같은 사람은 아예 카페인을 끊어야 하나요? 너무 궁금하네요..ㅠㅠ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blue-check
    서민석 가정의학과 전문의20.09.02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떤 음식을 드시던지, 내가 먹고 나서 힘들다면 당연히 피하는 것이 좋답니다. 특히 카페인으로 인해서 가슴 두근거림, 불면이 생긴다고 하면 당연히 내가 불편하니 안 드시는 것이 맞겠지요. 만약 드시고 싶다면 가급적 카페인이 적게 함유된 음식을 드시는 것도 방법일 수 있지만 그것도 밤에 자기 힘들다고 하시면 안 드실 수 밖에는 없어보입니다. 만약 그래도 드시고 싶다면 가급적 수면에는 영향을 주지 않는 오전중에 소량으로 드셔보시는 것이 가장 적절한 대안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본인의 건강상태에 맞게 정하셔서 드셔요~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기덕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간에서 카페인을 분해하는 효소는 CYP1A2입니다. CYP1A2가 작용을 잘 하는지 못하는지는 유전적으로 결정되는데요.

    CYP1A2가 작용을 잘 못하는 경우에는 카페인이 잘 분해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카페인이 오래 작용하게 되어 두근거리는 효과나 각성효과가 오래가는데,

    이 경우 심장에도 무리가 갈 수 있습니다. 실제로 CYP1A2의 유전형에 따른 카페인에 의한 심근경색 발생에 대한 연구를 시행한

    연구팀들도 적지 않은데요. 연구마다 결과에 다소 차이가 있긴 했지만,

    전체적으로 봤을때 카페인을 잘 분해하지 못하는 경우라면 굳이 많이 드시지 않는 것이 좋겠습니다.

    저는 가급적 연하게 드시도록 말씀드리고, 남길 수 있다면 남기시라고 말씀드리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