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장쪼개기 비율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사회초년생인데 통장쪼개기 비율을 어떻게 하면 좋다고 생각하세요?
월급 통장, 소비통장, 투자 통장, 생활비 등등 관리를 어떻게 해야될지 고민이라서요.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보통은 4+1 시스템으로 쪼개기형태를 가집니다. 월급통장, 고정비통장, 생활비통장, 저축·투자통장으로 나누는게 일반적입니다. 이외 추가적으로 목표통장을 선택에 따라서 쪼개기도 합니다.
즉 핵심은 월급통장이 들어오고 이를 고정비와 생활비 저축 이 3개의 비율로 나누는것입니다 즉 고정비와 생활비 저축통장으로 배분을 하고 결론적으로 여기서 고정비의와 생활비를 면밀히 관리가 되며 여기서 이 고정비를 어떻게 줄여나갈지 그리고 향후 생활비를 어떻게 줄여나가고 이후 저축과 투자통장으로 어떻게 배분할지 관리가 되므로 해당형태로 쪼개고 관리하는게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통장쪼개기 비율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이는 개인마다 다릅니다 개인의 소비 규모가 다르기 때문인데
자신의 소비를 파악해 보시고 그 소비 규모에 따라
쪼개기를 하시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사회초년생 통장 쪼개기 권장 비중은 50(필수지출):30(소비/생활비):20(저축/투자) 비율을 목표로 시작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특히 필수 지출(월세, 공과금 등) 50%는 고정적으로 나가더라도 소비/생활비 30%는 자유롭게 쓰되 한도 안에서 어떻게든 사용하시고, 가장 중요한 저축/투자 20%는 미래를 위해 꾸준히 모으셔야 합니다.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급여통장, 소비통장, 저축, 투자 통장을 분리하는 게 기본입니다.
예를 들면 50% 저축과 투자, 30% 생활비, 20% 여가비로 나누는 방식이 있습니다.
소득과 생활 패턴에 맞춰 비율을 조정하면 관리가 수월 합니다.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우선 월급통장은 휴대폰, 관리비 등 나가면서 혜택받는 실적조건 맞추시고 남은 가용자산을 생활비 40프로, 투자통장 40프로, 비정기적 소비 20프로로 가시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