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경제동향 이미지
경제동향경제
즐거운가오리188
즐거운가오리18824.03.24

불확실성이 커진 경제환경에서는 경제지표들이 어느 수준을 유지해야 안정적인 경제환경이라 할 수 있나요?

경제는 외부환경에 의해 많이 달라진다고 알고 있습니다

요즘처럼 불확실성이 커진 환경에서는

경제에서 중요한 지표 중 하나인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가 어느정도

수치를 유지해야지 건강한 경제라고 할 수 있나요?


현재 상황은 진행중인 전쟁, 중동위기, 중국 디플레이션, 고물가시대, 기후의 위기 등

엄청나게 많은 위험들이 도사리고 있고

현재 진행중인데

외부환경에서 존재하는 이러한 위험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 경제는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 물가지수가 어느정도 수준을 유지할 때

어느정도까지 안정적인 경제 환경이라 할 수 있나요?


현재는 3.1%에 달하던데 미국이 목표로하는 2%대에 근접해 있기에 괜찮은 수치라 할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을 기준으로 한다면 인플레이션율은 2%대를 유지해야하며, 실업률의 수준은 3% 중후반을 유지해주면 안정적인 수치라고 할 수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많은 중앙은행들은 물가상승률을

    2%를 이상적으로 보는 등 이에 따라서 점차 거기에 가까워지기에

    현재 괜찮아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도 그렇고 우리나라도 그렇고 목표물가는 2%입니다. 미국은 CPI보다는 PCE를 더 보고 우리나라는 CPI를 보시면 될거 같습니다. 2%가 한번 나오는게 아니라 어느 기간동안 계속 유지가 되는 추세가 있어야 안정적으로 볼 수 있을거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연준도 목표로하는 인플레이션율2%대로 하고 있고, 소비자물가지수나 생산자물가지수는 전월 전년대비이기때문에 변동이 낮은게 좋고 인플레이션상황인지 디플레이션 상황인지에 따라도 다르고 지표는 상대적인 수치이므로 좋다 나쁘다 구분이 어렵습니다. 현재는 2%대가 목표입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하신 한국의 안정적인 경제 상황을 위한 소비자물가지수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은행에서 발표하는 중기 물가안정목표를 보면 정부의 관점을 볼 수 있는데

    한국은행이 2024년 목표로 하는 물가지수는 전년대비 2.0%로 설정되었습니다.

    즉, 소비자물가지수가 전년대비 2.0% 내외로 오르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고 봐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