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고민상담

기타 고민상담

홀쭉한족제비224
홀쭉한족제비224

태풍습윤 감률 대해서 궁급합니다!

1.태풍이 북서진하다가 30도 부근에서 기압이 증가하며 북동진 한다는데,

왜 기압이 증가하며 북동진하는지 알고 싶습니다.


2.습윤감률(5c/100m)이 건조감률(10c/100m)보다 작은 이유는


포화공기가 상승하는 겨우 응결에 의해 발생한 잠열이 주위공기를 데워서 인가요,


아니면 다시 그 포화 공기를 데워서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HKS7358
      HKS7358

      안녕하세요. HKS7358입니다.

      1. 태풍 후 기압 변화 및 이동: 태풍이 북서진 후 30도 부근에서 기압이 증가하며 북동으로 진행하는 현상은 태풍이 지나고 뒤따라오는 대기 상황의 변화로 인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태풍은 저압(낮은 기압)으로 인한 폭풍과 비바람을 가져오는데, 태풍이 지나면 저압이 지나가고 고압(높은 기압)이 차례로 이동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이로 인해 기압이 증가하며 북동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태풍 후에는 대체로 더 안정된 날씨가 찾아오기 때문에 기압이 증가하고 북동으로 진행하는 것입니다.

      2. 습윤감률과 건조감률의 차이: 습윤감률과 건조감률은 대기의 수증기 함량과 온도에 따라 변화하는 지표입니다. 습윤감률은 상대적으로 고온에서 상대습도가 높을 때 발생하며, 건조감률은 상대적으로 낮은 온도에서 상대습도가 낮을 때 나타납니다.

      포화공기가 상승하는 경우, 대기가 팽창하면서 기온이 하강하게 되고, 그에 따라 포화수증기압도 감소합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상대습도가 높아지므로 습윤감률이 증가하게 됩니다. 따라서 습윤감률이 건조감률보다 작은 것은 수증기 함량이 높은 상대적으로 습한 대기에서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수증기 함량이 높을수록 공기는 상대적으로 더 많은 습기를 포함하게 되므로, 습윤감률이 건조감률보다 작게 나타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