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경이 오면 무조건 배가 나온다는데 왜그렇죠
폐경이 오면 살이 찌는건 잘 알겠는데 왜 복부로 살이 몰릴까요 그리고 다리는 왜 얇아질까요 목욕탕 가서 보면 중년이상 여자들 다리는 얇고 복부는 엄청나더라고요
안녕하세요. 최성훈 내과 전문의입니다.
폐경 후 여성호르몬이 급감하게 되고 이로 인한 지방 분포가 변화해 복부에 지방이 쌓이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성호르몬 외에도 성장 호르몬의 감소, 렙틴 호르론의 억제, 안드로젠의 과형성, 부신피질호르몬 분비 증가 등 각종 호르몬의 변화도 내장 지방 축적과 연관이 있습니다.
이러한 폐경 비만은 심혈관질환, 골관절염, 유방암 같은 각종 질환의 위험을 높이므로 규칙적으로 운동하며 칼로리는 낮지만 영양소가 풍부한 음식을 섭취할 것을 권하며 여성호르몬 보충 요법도 일부 도움이 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폐경 후에 체형이 변하는 현상은 많은 분들이 겪는 자연스러운 과정입니다. 이 시기에는 여성의 호르몬 변화가 여러 신체 변화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폐경이 되면 에스트로겐 수치가 감소하게 됩니다. 에스트로겐은 체중 분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이 호르몬이 줄어들면 신체는 지방을 복부에 더 많이 저장하는 경향을 보입니다. 에스트로겐이 줄어들면서 신진대사가 약간 느려지기도 하고, 이는 체중 증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또 다른 이유로 나이가 들면서 근육량이 감소하고, 그로 인해 기초 대사량이 줄어듭니다. 근육은 에너지를 더 많이 소모하기 때문에, 근육량이 줄어들면 소비 에너지도 줄어들게 됩니다. 따라서 같은 양을 먹더라도 에너지를 덜 소모하니 살이 찌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또한, 폐경 후에는 피하지방이 특히 복부에 쌓이기 쉬운 상태가 됩니다. 반면 다리의 경우, 활동량이 줄어들면서 근육량이 감소할 수 있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얇아 보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변화들은 대부분의 여성들이 겪는 일반적인 현상이니 너무 걱정하지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나영 의사입니다.
폐경 후 에스트로겐이 급격히 감소하면서 지방이 엉덩이나 허벅지에서 복부 중심으로 재분포됩니다. 남성형 비만과 유사한 형태로 전환이 되는 것입니다. 또 나이가 들수록 근육량이 줄고 기초대사량이 감소하여 먹는 양이 같더라도 살이 더 잘 찌고 빠지기 어려워집니다. 활동량이 줄고 다리 근육이 줄어들면 다리는 가늘어지고 내장지방은 늘어납니다. 폐경기에는 인슐린 저항성도 증가하여 지방 축적이 더 쉬워지고 특히 복부지방이 잘 쌓이게 됩니다.
근력 운동으로 다리 및 복부 근육을 유지하고 단백질 섭취를 늘리는 것이 좋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폐경 이후에 복부 비만이 늘어나는 가장 큰 이유는 호르몬 변화, 특히 에스트로겐 감소 때문입니다. 에스트로겐은 여성의 체지방 분포를 엉덩이, 허벅지 같은 아랫부분에 유지시키는 역할을 하는데, 폐경 이후 이 호르몬이 급격히 줄면 지방이 복부 쪽으로 몰리게 되는 체형 변화가 일어납니다. 즉, 여성의 체형이 남성형 체형으로 바뀌는 것처럼 보이기도 하죠.
또한 기초대사량 감소와 근육량 감소도 한몫합니다. 나이가 들수록 근육이 자연스럽게 줄고, 특히 운동량이 줄면 다리 근육이 가장 먼저 빠지기 쉬워요. 다리에 근육이 줄어들면 다리가 가늘어지고, 그에 비해 지방은 상대적으로 복부에 축적되기 쉬워지면서 체형이 더욱 눈에 띄게 변하게 됩니다. 허벅지나 엉덩이는 처지고, 배는 나오고 하는 전형적인 변화죠.
게다가 폐경 이후에는 인슐린 저항성 증가, 스트레스 호르몬(코르티솔) 증가, 수면 질 저하 등도 복부 비만을 가속화하는 요인이 됩니다. 결국 폐경 자체가 단순히 생리의 종료가 아니라, 전신 대사와 체형에 큰 영향을 주는 전환점이기 때문에 복부에 살이 몰리는 것은 흔한 변화고, 이를 막기 위해선 근력 운동, 단백질 섭취, 규칙적인 생활습관 유지가 정말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