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에서 작동하는 전기의 흐름이 궁금합니다. 전기가 충전할떄 직류도 되고 교류도 되는데 그 후에 충전하고 사용되고 하는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전기차에서 작동하는 전기의 흐름이 궁금합니다. 전기가 충전할떄 직류도 되고 교류도 되는데 그 후에 충전하고 사용되고 하는데 어떻게 사용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기차의 전기는 고전압 배터리 팩에서 시작하여 전기 모터로 전달되어 구동력을 만드는걸로 시작됩니다. 보통은 주행 중에는 배터리에서 모터로 전기가 흘러 바퀴를 돌리고, 감속 시에는 모터가 발전기 역할을 하여 에너지를 회수해 배터리를 충전하는데요. 이걸 다른말로 회생 제동이라고 하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차는 외부에서 교류로 충전할 때 차량 내 온보드 차저가 이를 직류로 변환해 배터리에 저장하고 급속충전기는 처음부터 직류를 직접 배터리에 넣어 줍니다 저장된 배터리 전기는 다시 인버터를 통해 교류로 바뀌어 모터를 구동시키며 일부 장치는 직류를 그대로 사용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전치가 충전기는 교류와 직류 방식이 있는데 집에서 쓰는 완속 충전은 교류로 들어오고 차 안에서 이를 직류로 변환해 배터리에 저장합니다. 급속 충전은 아예 외부 충전기에서 직류로 바꿔서 바로 배터리에 넣습니다. 이렇게 저장된 전기는 모두 직류인데, 실제로 모터를 돌리려면 교류가 필요하기 때문에 차량 안의 인버터가 직류를 다시 교류로 바꿔 모터를 구동시킵니다. 즉 충전은 ac든 dc든 결국 배터리에는 dc로 저장되고, 주행할 때는 인버터를 거쳐 교류로 바뀌어 모터를 돌리는 구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충전기 내부에 있는 인버터가 중요한 역할을 하게되며 차량 내부에서는 배터리에서 나온 직류 전기를 모터가 사용할 수 있도록 다시 교류로 변환하는데 이 과정이 바로 인버터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전기차 충전 방식은 교류 및 직류 모두 사용이 가능하며 충전 후에는 배터리에 저장된 직류가 차량의 여러 장치로 변환되어 사용하게 됩니다. 완속 충전의 경유에는 교류로 충전으로 차량 내에서 직류로 변환되어 배터리에 저장되며
급속 충전은 직류를 바로 공급하여 배터리에 저장합니다.
안녕하세요. 하성헌 전문가입니다.
전기차에서 천천히 충전되는 완속충전의 경우 교류를 활용한 것이라고 볼 ㅅ ㅜ있습니다. 이러한 것은 충전소에서 충전전기인 220v ac를 배터리에 저장할때에는 결국 직류로 변환하여서 저장이 됩니다. 배터리에서 출력이 될떄에는 dc의 형태로 진행이 되며, 만약 충전소에서 급속충전으로 급하게 충전을 해야한다면 배터리에 충전을 할때 dc모드로 충전을 하는 과정을 거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차의 경우 충전할때 교류나 직류로 충전이 가능하지만 배터리 충전은 직류로 가능합니다. 그렇게 충전된 배터리는 사용될때 다시 교류로 변경되어서 모터가 작동하게 됩니다. 즉 충전할때 배터리는 어떤 전기로 들어와도 직류로만 충전되고 모터는 교류로 작동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