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화목한다람쥐109
화목한다람쥐10923.12.12

현재 우리가 보는 별은 오래전 빛난 걸 보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밤하는 반짝이는 별들이 사실은 엄청 오래전에 빛나는걸 이제서야 우리눈으로 보는거라는데 맞나요?

그럼 지금 현재 이순간에 그 별이 사라졋을 수도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가 눈으로 관측되고 있는 반짝이는 별은 이미 오래 전에 거대한 폭발과 함께 빛을 내면서 사라진 행성입니다. 실제로 지구와의 먼 거리로 인해서 빛이 이제 도달하여 사람의 눈에 보이게 되는 것 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현재 보이는 별들은 실제로는 매우 오래전에 빛나고 있는 것을 우리가 관측하는 것입니다. 이는 빛의 속도가 유한하고 매우 빠르기 때문에 발생하는 현상입니다.

    별은 매우 먼 곳에 위치해 있으며, 빛은 속도가 약 30만 km/s로 매우 빠르게 이동합니다. 따라서, 별이 빛을 발산한 후에 그 빛이 우리의 눈에 도달하기까지 시간이 걸리게 됩니다. 이 시간은 별과 지구 사이의 거리에 따라 다르며, 가까운 별일수록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이 소요됩니다.

    예를 들어, 우리로부터 가장 가까운 별인 프록시마 켄타우리 별은 약 4.2 광년 떨어져 있습니다. 따라서, 프록시마 켄타우리 별에서 발산된 빛이 우리의 눈에 도달하기까지 약 4.2 년이 걸립니다. 따라서, 우리가 현재 보고 있는 것은 프록시마 켄타우리 별이 약 4.2 년 전에 빛나던 모습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우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별이 얼마만큼 떨어져있는지는 모르나 빛도 결국에는 속도의 한계가 있기때문에,

    예를들어 그 항성과 지구간의 거리가 100광년이라고 했을시에 100년전에 그 항성에서 나온 빛이 지구로 도달한것입니다. 결론적으로 100년전 빛이며 지금은 그 항성이 폭발했을지 사라졌을지 모르는것이죠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 보는 달은 태양빛이 반사되어서 온 빛을 버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구와 달의 거리는 약 384,400km이거 태양빛이 달에 반사되어서 오는 빛의 속도가 약 30만km / s이기때문에 우리가 버는 달은 약 1.2초전의 달의 모습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 우리가 보는 별들은 대부분 과거에 빛을 발산한 별들입니다. 이것은 빛이 우주를 여행하는 속도가 매우 빠르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보는 가장 가까운 별인 태양은 약 8분 전에 빛을 발산한 것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모든 별들에게 적용되는 것은 아닙니다. 더 먼 거리에 있는 별들은 더 오래된 빛을 우리에게 보여줍니다. 예를 들어 우리가 보는 가장 먼 별은 약 13억 년 전에 빛을 발산한 것입니다.

    그리고 빛의 속도는 우주의 확장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더 먼 거리에 있는 별들은 더 빠르게 우리로부터 멀어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더 먼 거리에 있는 별들의 빛은 우리에게 도달하기 전에 더 늦게 발산된 것처럼 보입니다. 이것은 우주의 확장 속도와 빛의 속도의 차이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밤하늘의 반짝이는 별들은 사실은 엄청 오래 전에 빛나는 것을 이제서야 우리 눈으로 보는 것입니다.빛이 빛의 속도로 이동한다는 사실을 생각해보면, 밤하늘에 보이는 별들은 사실 우리 눈에서 수천 년, 수십만 년, 심지어 수십억 년 전에 빛났던 것입니다. 따라서, 우리가 지금 보고 있는 별들이 지금 이 순간에 사라졌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맞습니다. 우리가 밤하늘에서 보는 별들의 빛은 실제로 그 별들이 수년, 수십년, 심지어 수백만 년 이전에 방출된 것입니다. 빛이 우주를 여행하는 데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우리는 별들을 과거의 모습으로 보게 됩니다.


    따라서, 우리가 보는 별의 빛이 출발한 시점 이후에 그 별이 사라지거나 변화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별이 초신성으로 폭발하거나, 적색거성으로 변하는 등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화가 이미 일어났을 수도 있습니다. 그러나 우리는 그 변화를 별의 빛이 지구에 도달할 때까지 관측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우리가 밤하늘에서 보는 일부 별들은 실제로는 이미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