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성형외과 이미지
성형외과의료상담
기특한원앙72
기특한원앙7221.08.23

치아에 금 갔는데 크라운 고민됩니다

치아에 금가서 부분치료도전했지만 그래도 아파서 결국 신경치료했습니다 그래서 이제 크라운만 남았는데 고민됩니다. 오른쪽 위에 가장 안쪽 어금니입니다.

지인은 금간치아는 금방 또 문제가 될 수 있고 안보이는 부분이니 메탈로 하라하던데 인터넷보니 그게 너무 단단해서 아랫니에도 문제가 될수있다고 되어있어서.. 근데 금이나 지르코니아는 금액이 두배차인데 비싼거했다가 금방 문제 생기면 어쩌지 계속 왔다갔다하네요

무엇으로 해야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에 금이 갔을 경우에는 신경치료후에 크라운으로 씌우게 되지만 금이 뿌리까지 진행되어 있을 경우에는 불편감이 지속될수 있습니다.

    일반 보철물의 경우에는 치과용 도자기 부위가 강한힘에 깨지는 경우가 있어서 금이나 지르코니아로 씌우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성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에 금이 가서 치료를 한 경우에는 몇 가지 고려사항이 있습니다.

    1. 금이 어디까지 진행되었는지 알 방법이 없습니다. 신경치료를 통해 통증을 제거했다 하더라도, 금이 치아 머리부분에 한정적으로 있는지, 이미 뿌리까지 진행중인지는 알 방법이 없습니다.

    2. 이미 금이 뿌리까지 진행중인 경우라면 신경치료 및 크라운치료까지 한다고 하더라도 점차 금이 진행됩니다(뿌리는 크라운이 덮는 부위가 아니라 점차 금이 진행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결국 치아를 뽑게 되는데, 문제는 이 역시도 언제가 될지 알 수 없습니다.

    이런 점들을 고려했을 때, 우선적으로 지르코니아는 고려사항이 아니라고 생각됩니다. 지르코니아는 원래치아보닫도 단단하고 씹을 때의 충격을 흡수하지 못하기 때문에 오히려 치아에 충격이 모두 가해져 금이간 치아에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예외적으로 금이 치아 머리에 한정적인 것이 명확하고 작은 어금니처럼 심미성이 중요한 경우 등에서는 지르코니아를 하기도 합니다)

    심미성이 그렇게 크게 중요하지 않은 큰어금니의 경우에는 보통 은색의 Metal 크라운과 Gold 크라운, Metal 위에 치아색인 포세린 파우더를 입힌 PFM 크라운 세가지 중에 결정할 것을 권장드립니다.

    단, PFM 크라운의 경우에는 볼쪽 부위만 치아색으로 입히고, 씹는 면은 Metal로 해야 합니다.

    기능적으로는 Metal 크라운과 PFM 크라운이 비슷하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씹는 면이 둘다 Metal이므로).

    * 심미성 Gold - PFM > Metal : 금니를 심미적이라 느끼는 사람이 있는 반면, 금니가 비심미적으로 느끼는 사람도 있으므로 이에 대한 평가는 개인차가 있습니다.

    * 기능성 Gold >= Metal, PFM : Gold 는 무른 금속으로 생체친화적이고, 씹는 힘에 의해서도 변형되어 치아에 큰 무리가 가지 않습니다. Metal 역시 비교적 무르기 때문에 기능적으로는 둘다 좋습니다.

    * 가격 Gold > PFM > Metal : 금이 들어가니 당연히 가장 비싸고, Metal 위에 추가적인 처리를 해야 하므로 PFM 크라운이 그 다음으로 비싸지만, 금보다는 훨씬 저렴합니다.

    금이 간 치아의 치료는 언제 탈이 날지 걱정하고 하는 것이 아니라, 조금이라도 최대한 더 이 치아를 뽑지 않고 사용하려는 측면에서 치료를 하는 것입니다.

    이런 점들을 두루 고려하고 담당 선생님과 상의하여 좋은 선택 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와 적합도가 가장 좋은 것은 금입니다. 따라서 보통 금간 치아는 다른 재료보다는 금으로 치료하는 경우가 많으며 금 재질로 인하여 예후가 좋아지는 경우가 많습니다. 질문자님의 지인 말대로 금간 치아는 예후가 상당히 좋지 않아 어떠한 치료를 하더라도 예측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일단 본인이 자연치아를 최대한 살리고 싶다면 금을 추천하지만 추후에 금방 탈도 날 수 있다는 것을 아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전성화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금이 간 치아를 신경치료 후 크라운으로 수복하려고 하시는군요.

    금이 간 치아를 크라운 하는 것은 크라운이 치아 머리부분을 잡아주어 크라운의 진행을 막아 줄 수 있으나 금의 진행이 이미 뿌리까지 많이 진행되었다면 크라운을 씌우고 얼마나 더 쓸 수 있을지 예후를 예측하기 힘듭니다.

    이런 이유 때문에 값이 저렴한 메탈크라운으로 씌우기도 하는데 가장 좋은건 삭제량이 적고 물성이 좋은 골드 입니다.

    실제 예후가 크게 다르지 않더라도 골드로 했을때는 그렇지 않을 때 보다 조금이나마 오래 쓸 수 있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과마다 시술하는 치과의사마다 다를겁니다.

    여러군데 상담받아보세요.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 금이 간 치아의 수명은 금이 발생한 부위와 진행 정도, 기간 뿐 아니라 환자 개개인 교합의 특성, 선호 음식, 저작습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금이 치관부(잇몸 상방에 위치하는 치아 부분)에만 위치한 경우 뿌리 쪽으로 진행된 것보다 비교적 예후가 양호하지만, 금이 치관부의 근원심을 가로질러 진행된 경우는 예후가 좋지 않다.

    출처 : 매경헬스(http://www.mkhealth.co.kr)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치아에 크랙이 간 상태로 부분 인레이를 했지만, 통증이 지속된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경우, 크라운을 하거나, 신경치료후 크라운을 해야합니다.

    크라운 종류는 골드, 지르코니아, 도재, 메탈 등이 있습니다.

    다 장단점이 있고, 가능한 치료입니다.

    심미성이 중요하면 지르코니아, 도재가 낫습니다.

    하지만 파절에 강한 재료는 골드- 지르코니아-도재 순입니다.

    정확한것은 치과에서 상담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