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푸르르름
푸르르름

멜서스트랩의 의미가 궁금합니다.

흔히 인구압적으로 한계가 왔다고 할 때


중근세의 특정시기를 멜서스트랩으로 비유하는데


이 멜서스트랩이 뜻하는 부분은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멀서스트랩의 의미가 무엇인지가 궁금하군요.

    맬서스 트랩의 이론적 근거는 수확 체감 법칙입니다.
    한정된 토지에 노동력을 증가시켜도 현재 농업 기술 로는 토지 당 단위 생산물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구는 정체된다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영국의 성공회 성직자이자 고전파 경제학자였던 토머스 맬서스가 저서 인구론에서 주장한 사회 이론으로 그는 후생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나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인구 증가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면 결국 복리후생을 사회 구성원에게 충분히 제공할수없는 사태가 온다고 주장했습니다.

    맬서스 트랩의 이론적 근거는 수확체감법칙으로 한정된 토지에 노동력을 증가시켜도 현재 농업 기술로는 토지 당 단위 생산물에 한계가 있기 때문에 인구는 정체된다는 것으로 이를 그대로 방치하면 인류가 커다란 재앙을 피하기 어려울 것이라는 주장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맬서스 트랩 (Malthusian Trap)은 고전파 경제학자였던 토머스 맬서스(Thomas R. Malthus 1766-1834)가 그의 저서인 <인구론(1798)>을 통해 주장한 사회 이론인데 식량 공급이나 기타 자원은 기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결국 생활 수준이 인구 감소를 촉발할 정도로 떨어진다는 이론 입니다. 하지만 이런 이론의 기반에서 맬서스는 모두의 이익과 행복을 위해서 저소득층의 인구를 감소시켜야 한다고 주장했다. 가능하면 결혼이나 출산을 늦추거나 안하게 하는 것이 가장 좋고, 적극적 방법으로는 전쟁, 기아 등으로 인한 인구감소도 있다고 언급했는데 그에 감명을 받은 당시 영국 총리는 실제로 빈민법을 개정해서 빈민복지를 없애버렸다고 합니다. 이러한 맬서스의 주장은 이론이 맞고 틀리고를 떠나서 당장 도덕적으로 큰 논란의 대상이 되었고 시대적 상황 자체가 현대와는 차이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맬서스트랩은 18세기 영국의 인구학자 토머스 맬서스가 제기한 인구론을 바탕으로 한 개념입니다. 맬서스는 인구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지만, 식량은 산술급수적으로 증가하기 때문에 결국 인구가 식량을 초과하여 인구 폭발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맬서스의 인구론은 당시에는 매우 주목을 받았지만, 오늘날에는 많은 부분에서 반박되고 있습니다.

    중세의 특정 시기를 맬서스트랩으로 비유하는 것은 그 시기에 인구가 급격하게 증가하여 식량 부족과 기근이 발생했기 때문입니다. 중세의 인구 증가는 농업 기술의 발전과 전염병의 감소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농업 기술의 발전은 더 많은 식량을 생산할 수 있게 하였고, 전염병의 감소는 더 많은 사람들이 생존할 수 있게 했습니다. 이로 인해 중세의 인구는 급격하게 증가했습니다.

    그러나 중세의 인구 증가는 식량 부족과 기근으로 이어졌습니다. 당시의 농업 기술은 매우 열악했기 때문에, 인구 증가에 따라 식량 생산량이 따라잡지 못했습니다. 또한, 기후 변화와 전쟁으로 인해 식량 생산량이 감소하기도 했습니다. 이로 인해 중세의 유럽에서는 수많은 기근이 발생했습니다.

    중세의 인구 증가와 식량 부족은 중세 사회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기근으로 인해 많은 사람들이 죽거나 이주했으며, 이로 인해 중세 사회는 정치적, 사회적으로 불안정해졌습니다. 또한, 기근으로 인해 중세 사회의 경제는 침체되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