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치과

흉도비인
흉도비인

어금니 사이 레진치료 후 2주가 지났는데 아직도 차가운 음식에 이가 시린 이유가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치료전 기존 일상생활에서는 얼음을 매우 즐겨

씹어먹을 정도로 상태가 괜찮았는데요 어느날

식사중 저작활동을 할때 살짝 시큰 거리길래 저는

이빨에 금이간줄 알고 전체적인 구강상태를 알고싶어

10년만에 치과에 들렀습니다

간호사분께서 말씀하시길 충치가 생겨서 아프신거다

충치치료하면 해결 될거라는 말씀에 당황해서

상황에 좀 떠밀려서 그냥 누운자리에서 레진 선택 후

다이렉트로 치아를 갈아버리고 레진 치료를 했는데요

일단 지금 2주차인데 음식을 먹을때와 차가운 물이나

아이스크림을 먹을때 이가 너무 시큰거립니다

기존에 있던 고통이 사라진 것도 아니고

기존에 없던 고통이 추가로 새로 생겨나서 황당하고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극도의 스트레스를 받고 있습니다

잇몸을 긁어내고 싶다는 충동이 생길 정도로 아파서

치실질을 시도해봤는데

어금니 사이가 다 붙어있더라구요

결국 치과 재방문 후 말씀드려서 이빨사이 틈을 갈아서

다시 만들긴 했는데 의사선생님께서 말씀하시길

원래 여기 상태가 레진치료하기에 적합하지 않은데

제가 치아를 최대한 살려보려다가

결과가 이렇게 된 것 같습니다

아프시면 그냥 신경제거 하시면 된다고

너무 태연히 말씀을 하시길래

금전적인 문제로 계획에 없던 충치치료했다가 이제는

신경제거까지 도합 40만원을 날리게 생겼습니다

정말 충동을 겨우 참아내고

이런 좋은 사이트에 여쭤볼 수 있게 되어

매우 감사드립니다 일단 저는 이미 치아가 갈린상태라

이전으로 돌아갈 수 없는걸 알기 때문에 이성적으로

제가 궁금한 것은 이 지옥같은 고통에서 벗어날 방법이

신경제거밖에 없는건지 지출을 크게 하지않는

다른 방법이 있다면 구체적으로 제가 어떻게 해야 할지

답변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그리고 원래 치과에서 설명자체를 잘 안해주는

편인가요 이빨 안 아파진다고 해서 한건데

이제는 신경치료를 해야한다는게 진짜 배신감이랑

충동이 너무 쌔게 듭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1. 술후민감증이 있을 수 있고 특히나 레진이라는 재료는 특성상 수축을 합니다. 그러면서 치아와 재료 사이 틈이 생기면 그 사이로 바람이 들어가거나 찬 것 드실 때 통증을 민감하게 느끼실 수도 있습니다. 재료의 수축까지 고려해서 레진은 까다롭게 다뤄야하고 레진 충전 전에 접착 과정에서도 심혈을 기울여야 하지만 이렇게 해도 워낙 레진 재료 자체가 수분에 민감하고 재료 자체의 특성 때문인지 10~20% 정도는 술후민감증을 겪고 다시 재치료를 합니다. 재치료를 신경써서 하면 좀 증상이 완화되긴 합니다.

    2. 일반적으로 레진 치료 후 1~2주 정도는 통증이 있을 수 있으나 만약 지속되고 더 통증이 커진다면 레진을 뜯고 다시 치아를 재평가 해봐야 합니다. 과연 신경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는지에 대해 평가를 해봐야 합니다. 아프다고 무작정 신경치료를 하면 사실 남아날 치아 신경이 없겠죠. 신경에 확실하게 영향을 준 경우에만 신경치료를 진행하면 됩니다. 평소에 차가운 것 뿐 아니라 뜨거운 음식에도 민감하게 반응하며 그 불편한 느낌이 1분 이상 길게 지속된다면 어느정도 신경에 영향을 받은 상태라고 여겨집니다. 해당증상을 확인해보시기 바랍니다. 그 외에 씹을때 특히 통증이 극심하다면 크랙(금이 간 치아)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크랙 치아의 경우 보통 신경치료를 합니다.)

    3. 일단 현재상태에서 치아가 너무 시리다면 치과에서 지각과민처치제라고 하는 자극에 대한 치아, 신경의 반응을 둔감하게 해주는 보호코팅제를 좀 바르고 상황을 지켜볼 수 있습니다.

    4. 만약 차도가 없다면 레진은 제거해봐야 합니다. 그 후 신경과 가까운 곳에는 베이스나 라이너라고 하는 보호층(완충재)을 한겹 깔고 다시 레진을 충전하는 식으로 치료를 진행해볼 수 있을 것 같으나 이건 환자분께서 평소에 증상을 체크했을 때 2번에서 설명한 증상은 없고 단지 찬 것에만 통증을 느끼는 경우 해볼 수 있는 치료입니다. 2번에서 설명한 증상이 있다면 신경치료가 불가피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5. 추가적으로 방사선 사진이나 임상 사진이 있다면 좀 더 도움되는 답변 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6. 딱딱한 음식 (특히 얼음)을 깨물어 먹는 것은 치아에 굉장히 좋지 않은 습관입니다. 치아에 금이가거나 치아 파절을 유발할 가능성이 큽니다. 앞으로는 줄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충치가 깊은경우 치료를 하고 나서 일시적으로 시릴수 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도 해결이 되지 않으면 다시 치료를 하거나 신경치료를 해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병원 대처가 쪼금 아쉽기는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