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비 질문] 한림예고 졸업생, 재학생 분들이나 한림예고에 대해 잘 아는 분들이면 좋겠어요! 하지만 아니더라도 괜찮아용 아시는 게 있다면 고고!
1) 평균적으로 실무과 신입생 경쟁률, 편입 경쟁률 각각 얼마나 되나요?
2) 평균적으로 실무과 티오가 학년마다 얼마나 생기나요?3) 학비 지원은 무엇무엇이 있나요?4) 수업시간,점심시간,쉬는시간에 폰 걷나요?5) 입학실기로 치어리딩을 췄을때 떨어질 확률과 붙을 확률 중 어느곳이 더 높나요?6) 신입생 전형이랑 편입 전형 기간이 다르던데 신입생 전형을 보고 2학기 2차 편입을 볼 수 있나요7) 두개다 보고 둘다 붙으면 선택해서 입학해도 되나요?8)
학비가 분기당 얼마인가요?
9) 학비가 1년에 총 얼마인가요?
10) 학비는 무슨 달에 내나요? 3월,6월,9월,12월 이런 식으로요!11) 청소년이 알바로 학비를 벌어서 내기엔 현실적으로 힘든 금액인가요?12) 알바로 학비를 보태서 다니는게 가능하다면 부모님께 1분기당 얼마정도 지원을 받아야하나요13) 재학생들중 알바로 본인이 학비를 내는 경우가 실제로 어느정도인가요14) 재학생들 중에 학비 보태는 분들은 보통 어떤 알바를 많이 하나요?
15) 알바로 학비를 모아서 다니게 된다면 졸업까지 가능할 확률은 몇 프로 인가요
16) 학비에 보탬이 될만한 알바를 추천한다면 무엇인가요 월세도 제가 내야해요! (월세 38만원)17) 방과후, 급식비 등 제외하고 학교를 다니기 위해 꼭 내야하는 금액만 하면 1년에 얼마인가요?1. 신입생 경쟁률: 꽤 높음.
편입 경쟁률: 매우 높음 (30~40:1).
2. 실무과 TO: 학년마다 거의 없음 (0~1명 수준).
3. 학비 지원: 기초생활수급자 등 사회배려계층 대상 지원 있음.
4. 폰 걷기 여부: 수업 중 걷는 경우 많음 (정확한 규정은 미공개).
5. 치어리딩 실기 합격률: 실력과 평가기준에 따라 달라짐, 명확한 수치 없음.
6. 전형 시기: 신입생·편입 전형 시기 다름. 둘 다 응시 가능한지는 학교에 확인 필요.
7. 둘 다 붙으면: 선택 가능. 단, 학교 방침 확인 필요.
8. 학비 (분기): 약 156만 원.
9. 학비 (연간): 약 550만 원 내외.
10. 납부 시기: 3월, 6월, 9월, 12월 등 분기별.
11. 알바로 전액 부담: 현실적으로 어려움.
12. 알바 병행 시 부모님 지원액 (분기당): 약 70만 원 정도 필요.
13. 알바로 학비 내는 비율: 극소수. 병행 부담 큼.
14. 선호 알바: 시간제, 온라인 작업 등 (학생마다 다름).
15. 졸업 가능성 (알바 병행 시): 개인 역량에 따라 다름, 부담 큼.
16. 추천 알바: 온라인 튜터, 프리랜서 작업 등 수익 높은 것 (기술 필요).
17. 필수 납부금만 1년치: 약 640만 원.
한림예고(한림연예예술고등학교)에 대한 관심이 많으시네요! 최대한 현실적으로, 하나하나 간결하게 답변드릴게요. 정확한 수치는 매년 변동될 수 있으니 참고용으로 봐주세요.
1) 실무과 신입생 경쟁률
보통 8~15:1 사이에서 형성됩니다. 인기 있는 전공(실용무용, 연기 등)은 더 높아요.
2) 실무과 편입 경쟁률
전공·학년에 따라 다름, 대체로 높지는 않지만 티오가 적어서 경쟁은 치열할 수 있어요.
3) 실무과 티오(결원)는?
평균적으로 학년별로 0~3명 내외, 생기지 않을 수도 있어요.
4) 폰 걷나요?
수업시간에는 걷는 경우가 많음, 쉬는 시간·점심시간에는 일부 허용. 선생님에 따라 차이 있음.
5) 치어리딩 실기로 합격 확률
입학실기 심사는 전체적인 기량과 가능성을 봐요.
경험 많고 완성도 있으면 붙을 확률 높음.
무작정 추기만 하면 떨어질 확률도 큼.
6) 신입생 전형 → 2학기 편입 지원 가능?
가능하긴 한데 드뭅니다. 1학기 입학 후에는 원칙적으로 중복 입학 불가.
7) 둘 다 붙으면 선택 가능?
네. 다만 입학서류 제출 이후에는 입학 철회가 복잡해지니 신중히 판단 필요해요.
(학비 관련)
8) 학비 분기당 얼마인가요?
약 180만 원 내외 (전공에 따라 차이, 예: 실용무용은 추가비용 있음)
9) 학비 1년 총액?
약 700~750만 원 수준 (급식비·방과후 제외)
10) 납부 시기?
3월, 6월, 9월, 12월 (분기별 납부)
11) 알바로 학비 전액 벌기 가능?
현실적으로 매우 어렵습니다. (고등학생 알바 시급이 제한되어 있음)
12) 알바+부모님 분담 가능?
예: 한 달 알바로 30만 원 벌 수 있다면, 분기당 90만 원 보태는 셈 → 나머지 90만 원은 부모님 도움 필요
13) 본인이 학비 내는 학생 비율?
적습니다. 많지 않아요. 대부분 부모님이 부담함.
14) 알바 종류?
카페, 편의점, 학원보조, 배달 보조, SNS 콘텐츠 제작 등
15) 알바+자립으로 졸업까지 가능할 확률?
현실적으로 낮음 (20~30%) ->이유는 학업, 실기, 알바 병행은 체력과 시간 압박이 크기 때문입니다.
16) 추천 알바 (학비+월세 보탬 기준)
온라인 알바로는 블로그, SNS 콘텐츠 제작
주말 알바로는 카페, 행사 보조
재능 기반 알바로는 춤, 연기 과외, 댄스 보조 강사 등이 있는데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겠죠.
목표 : 한 달 수입은 60~70만원 이상 필요합니다.
17) 꼭 내야 하는 금액 (방과후/급식비 제외)
입학금 : 약 30만원
수업료(분기별) 약 180만원, 4분기니까 720만원
실기복장/교재/기자재 약 50~100만원(전공에 따라 다름)
교복 약 50만원(동하복 포함, 초기에만)
총계 평균 800만원 내외(입학 첫해 기준)
730만원 내외 (2~3학년)
최대한 간결하게 정리해 봤습니다.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