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태평한관수리81
태평한관수리81

색약은 왜 여자보다 남자에게 더 자주 있는건가요?

우리가 초등학교 들어가면서부터 색맹검사를 하잖아요. 어느 통계를 보니까 초등학생 중에서

남자 색약은 약 6%, 여자는 0.4%라고 하는데 색약은 왜 여자보다 남자에게 더 자주 있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남성이 색약에 더 자주 걸리는 이유는 그들이 단 하나의 X 염색체만을 가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만약 그들의 X 염색체가 색약 유전자 변이를 가지고 있다면, 대립하는 정상 유전자가 없기 때문에 색약 증상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여성은 두 개의 X 염색체를 가지므로, 한 쪽에서 색약 유전자 변이가 발생하더라도 다른 한쪽에서 정상적인 시력을 제공하는 유전자가 있어 이 상태를 상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여성이 색약을 나타내려면 두 개의 X 염색체 모두에서 동일한 변이가 발생해야 합니다. 이것은 통계적으로 볼 때 매우 드문 경우입니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성연결 유전질환인 색맹증은 남성에게서 훨씬 자주 관찰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색약은 남성에게 더 자주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성염색체가 색맹 유전자를 운반하는 방식에 기인합니다.

    인간의 성염색체는 X와 Y로 구성되어 있으며, 여성은 XX를, 남성은 XY를 가지고 있습니다. 색맹 유전자는 X염색체에 위치하고 있으며, 만약 한 쌍의 X염색체 중 하나에 색맹 유전자가 있는 경우 해당 개인은 색약 또는 색맹이 될 수 있습니다.

    여성은 두 개의 X염색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X염색체 중 하나에 색맹 유전자가 있더라도 다른 정상적인 X염색체가 보완해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은 색약 또는 색맹이 되기 위해서는 양쪽 X염색체에 모두 색맹 유전자가 있어야 합니다.

    하지만 남성은 XY 성염색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한 쌍의 X염색체 중 하나에 색맹 유전자가 있는 경우 다른 X염색체가 없어 보완해줄 수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남성은 상대적으로 더 자주 색약 또는 색맹이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색약은 주로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데, 이는 X 연관성 유전 패턴에 기인합니다. 여성은 두 개의 X 염색체를 가지고 있고, 남성은 하나의 X 염색체와 하나의 Y 염색체를 가지고 있습니다. 색맹은 주로 X 연관성 유전 패턴으로 전달되며, 이는 여성에게서는 두 개의 X 염색체 중 하나에 이상이 있어야 발현되지만, 남성에게서는 하나의 X 염색체에 이상이 있으면 발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