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하얀두루미148
하얀두루미14820.02.29

나이가 들수록 음식을 짜게 먹게 되는 이유가 뭘까요?

아이들과 같이 음식을 먹게 되면 음식이 싱겁게 느껴져 간을 하게 됩니다.

아이들은 왜 짜게 먹느냐고 하지만 그게 제 입맛에는 맞는데 이렇게 짜게 먹어도 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나이가 들면서 미각이 둔해지는 이유는

    바로 침 분비가 줄고 미각세포가 감소하는게 가장 큰 이유라고 합니다

    혀에는 8000개 이상의 미각세포가 있는데요,

    이 미각세포는 짠맛, 신맛, 단맛, 쓴맛, 감칠맛을 모두 인지합니다

    미각세포가 맛을 인지하면 뇌에 신호를 보내게 되고, 뇌에 있는 신경세포가 신호에 반응하면서 맛을 느끼게 됩니다


    침은 음식물을 부드럽에 만들어 혀가 맛을 느끼도록 하는 통로 역할을 하는데,

    나이가 들수록 침샘이 노화해 기능이 점차 떨어지고, 침이 나오는 관에 각종 이물질이 쌓여 좁아지기에 침 분비가 줄어든다고 합니다

    침이 부족하면 입 안에 있는 음식이 침과 제대로 섞이지 못해 액체가 되기 힘들어지고요

    음식물이 액체가 아니면 미각세포를 제대로 자극하지 못하기에 미각이 둔해지고 맛을 예전처럼 느끼기 위해

    더 자극적인 음식을 찾게 되어 음식을 짜게 만들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줄어드는 침 분비를 늘리기 위해서는 음식을 먹을 때 꼭꼭 씹어 먹어야 한다는군요

    50대 이상이라면 한번에 30번 이상 씹어햐 하고, 귤이나 오렌지 등 신 과일을 자주 먹는것도 좋다고 합니다


    45세가 넘으면 미각 세포가 감소하고, 75세가 되면 20대에 비해 미각세포가 절반 정도만 남아있다고 합니다

    흡연도 미각세포의 수를 감소히키고, 니코틴 성분은 쓴 맛을 제대로 느끼지 못하게 한다고 합니다

    흡연하시는 분들은 더더욱 금연을 하셔야 하겠어요


    나이를 먹게 되는것도 서러운데, 나이가 들면 대부분의 기능이 많이 떨어져 더 슬픈것 같네요

    떨어지는 기능을 안떨어지게 할 수는 없는 것 같고요,

    최대한 천천히 조금 덜 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오늘부터는 음식을 먹을 때 더 꼭꼭 씹어 먹도록 하고, 귤도 좀 더 즐겨먹어야겠어요^^


    [출처] 나이들수록 음식을 짜게 하는 이유


  • 중년이란 모든것이 달라지는 계기가 되는 나이가 되어간다는 의미인것 같다.

    그중에 하나가 음식을 먹으면서 점점 달게 되고 점점 짜게 먹게 되는것을 느끼니 말이다.

    노인인구의 증가는 먹는 음식조차도 변화가 온다는 것 이 아닐까 싶다.

    실제 인제대의대 연구팀에 의하면 70대의 하루 2g 이상 나트륨 섭취 비율이

    20대의 7배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나이가 들수록 더 짜고 단 음식을 찾는 이유는 무엇일까? 미각이 떨어져 느끼는 맛의 강도가 약해졌기 때문이다.

    자세한 원인을 살펴보고 짜게 먹지 않기 위해 유의하면 좋을 사항들을 살펴봤다.


    ◇미각을 느끼는 미각세포의 노화
    노화로 미각세포의 기능이 떨어져 미각에 둔감해진다. 우리 혀에는 맛을 느낄 수 있는 8000개의 미각세포가 있다. 이 미각세포들은 혀에 돌기(미뢰)로 뭉쳐있는데, 45세를 전후로 그 수가 감소하고 기능이 퇴화한다. 때문에 맛을 느끼는 능력이 떨어지는데 특히 짠맛과 단맛에 대한 감각이 떨어진다. 그렇기 때문에 같은 음식을 먹더라도 과거에 비해 싱겁다고 느끼게 되고, 소금이나 설탕을 더 넣게 되는 것이다.


    ◇침 분비의 감소
    감소한 침 분비도 미각을 둔화시키는 원인 중 하나다. 침은 치아가 씹어 표면적을 넓힌 음식물을 맛을 느낄 수 있게 혀에 잘 퍼뜨려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나이가 들면 침샘이 노화하면서 침을 만드는 기능이 떨어진다. 침이 부족해지면서 입안의 음식과 침이 제대로 섞이지 못하고, 미각세포를 제대로 자극하지 못한다. 때문에 적은 양으로도 미각을 충분히 자극할 수 있는 더 짜고 더 단 음식을 찾게 되는 것이다.


    ◇만성질환약의 영향
    만성질환 때문에 복용하는 약이 미각세포의 기능을 떨어뜨릴 수도 있다. 당뇨병이나 고혈압, 관절염 등의 약은 미각세포의 재생에 중요한 영양소인 아연을 몸 밖으로 배출시키는 작용을 한다. 아연이 부족하면 미각세포 재생이 느려지고 예전처럼 맛을 느끼지 못한다. 노화로 이미 둔해진 미각에 아연이 결핍되면서 그 기능이 더 떨어지는 결과를 낸다.


    [짜게 먹는 습관 극복 방법]
    1. 간을 보지 않고 조리법에 제시된 조미료 양을 따른다.
    2. 후각을 떨어뜨려 맛을 느끼는데 어려움을 주는 코 질환은 제때 치료한다.
    4. 양치질 시 미뢰 사이사이에 세균, 곰팡이 등이 번식하지 않도록 혓바닥을 잘 닦아 구강 위생에 신경을 쓴다.
    3. 맛을 내는 물질이 많이 녹아 나오고 침 분비가 증가하도록 음식을 꼭꼭 잘 씹어 먹는다.
    5. 아연이 풍부한 음식을 먹는다. 굴·조개류, 소·돼지·닭의 간, 현미나 깨 등의 눈 부분, 쇠고기, 방어·복어 등의 어류, 무·순무의 잎과 녹색 채소 등이 있다.
    6. 카페인이나 니코틴, 맵고 짜게 먹는 습관은 미각세포를 파괴하고 침을 마르게 하여 맛 감별 능력을 둔화시키므로 자제한다.
    7. 무분별한 약 복용을 피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