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써 5월이 다가면 곧 혹서기가 올 터인데..
우리나라 여름이나 겨울에 주로 얘기하는 체감온도 얘기를 자주 하잔하요..
기상 캐스터가 얘기하기를...실제 온도는 30도인데...체감온도는 36도라면서..
이렇게 체감온도에 대한 개념은 대충 이해가 되는데...실제로 36도라는 숫자는 어떻게 구하나요?
체감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나 공식이 따로 있나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실제 온도, 습도, 풍속 등의 기상 조건에 따라 개인이 느끼는 온도로서, 개인의 체온, 체질, 옷차림, 활동량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체감온도를 정확하게 측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요소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1. 실제 온도
2. 상대 습도
3. 바람의 세기
체감온도는 일반적으로 "남성 체감온도"와 "여성 체감온도"를 구분하여 표시합니다.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체온이 높기 때문입니다.
체감온도를 측정하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대표적인 공식 중 하나는 "WCT(풍속-온도 지수)"입니다. 이 공식은 다음과 같이 계산됩니다.
WCT = 13.12 + 0.6215T - 11.37V^0.16 + 0.3965TV^0.16
여기서 T는 섭씨온도이고, V는 풍속(m/s)입니다. 이 공식은 미국 국립해양대기청에서 개발한 공식으로서, 일반적으로 남성 체감온도를 측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겨울철에는 바람 때문에 더욱 춥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같은 온도에서도 바람이 세차게 불수록 체감온도가 낮아지기 때문이다. 풍속을 고려해서 체감온도를 구하는 한 가지 방법을 알아보자. 온도가 t (℃)이고 풍속이 v (m/초)일 때 체감 온도 T (℃)를 구할 수 있다. 이때 T 를 풍랭 지수(wind-chill index)라고 하는데 구하는 식은 다음과 같다.
T = 33 - 0.045(10.45 + 10√v - v )(33 - t)
이 공식은 풍속이 초속 1.79m(빠르게 걷는 속도)와 초속 20 m(시속 72km) 사이일 때 사용되며, 피부의 온도를 33 ℃로 가정하고 있다. 예를 들면 온도가 0 ℃이고 풍속이 초속 5 m(시속18km), 초속 10 m(시속 36 km), 초속 15 m(시속 54km)일 때의 체감 온도는 각각 -8.6℃, -15℃, -18℃이다.
한겨울에 기온이 영하 12 ℃이고 풍속이 시속 30 km이면 이때의 체감온도는 약 영하 31 ℃가 된다. 겨울 바람을 매섭게 느끼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온과 체감온도의 차이는 풍속에서 온다. 겨울철에는 외부 기온이 체온보다 낮아서 우리 몸의 열은 주변의 공기를 덥히는데 사용된다. 그런데 바람의 세기에 따라 열을 빼앗기는 정도는 다르다. 만약 바람이 세게 분다면 인체 주위의 공기가 빠르게 교체되면서 우리 몸은 더 많은 열을 빼앗긴다.
바람이나 습도에 의해 느끼는 온도가 달라지는 것이다
안녕하세요. 박형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체감온도는 기온·풍속·습도·일사 등 기상 요인을 종합해서 계산합니다.
옷을 입은 정도·거주 상태·체질·심리 상태 등도 변수로 작용하기 때문에 정확한 산출은 어려우나
최근에는 거의 유사하게 근접한 결과를 내놓고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기상청에서는 체감온도를 계산하기 위해 "좌표 평면상 풍속법"이라고 불리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이 방법은 기온과 풍속을 이용하여 체감온도를 추정합니다. 일반적으로 공식적인 체감온도 계산식은 다음과 같이 표현됩니다:
체감온도 = 13.12 + 0.6215 × 기온 - 11.37 × 풍속^0.16 + 0.3965 × 기온 × 풍속^0.16
이 식은 기온을 섭씨 단위로, 풍속을 m/s 단위로 사용합니다. 체감온도는 실제로 느끼는 온도를 나타내기 때문에 바람의 영향을 고려하여 기온보다 낮게 느껴질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