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의 실질 GDP의 성장세는 어떠한가요?
매년 화폐가 발행되고 물가가 상승하면서 명목 GDP가 오르는 것은 일반적입니다. 그러나 여러 요인을 고려한 실질 GDP가 증가하는 것은 조금 다른 문제인 것 같은데, 한국의 실질 GDP의 성장세는 어떠한가요?
한국의 실질 GDP성장률은 경제성장률로 표시를 하고 있는데, 경제성장률의 경우에는 지난 코로나 시기와 IMF시기를 제외하고서는 꾸준한 성장을 이어오고 있으며 아래의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안녕하세요
2023년 기준 한국의 전년 대비 실질 GDP 성장률은 1.4%로 확인되며, 이는 네이버 통계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명목 GDP는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가격을 반영하여 계산한 GDP이며, 실질 GDP는 기준 연도의 가격을 고정시켜 계산한 GDP입니다. 따라서 물가 변동이나 화폐 발행량 등의 영향을 배제하고 경제 활동의 규모와 성장세를 파악하는 데에는 실질 GDP 지표가 더욱 유용합니다.
GDP 성장률은 국가의 경제 성장을 나타내는 대표적인 지표 중 하나로, 경제 주체들의 생산 활동 수준과 경제 전반의 발전 정도를 보여줍니다. 하지만 GDP 성장률만으로는 경제의 질적 측면이나 국민의 삶의 질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경제 지표들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국내총생산(GDP)(실질, 계절조정, 전기비)
계정항목별
2021.1/4 =1.8
2021.2/4 =0.9
2021.3/4 =0.1
2021.4/4 =1.4
2022.1/4 =0.7
2022.2/4 =0.8
2022.3/4 =0.2
2022.4/4 = -0.3
2023.1/4 = 0.3
2023.2/4 =0.6
2023.3/4 = 0.6
2023.4/4 = 0.6
2024.1/4 = 1.3
출처 kosis 국가통계포털
✅️ 네, 실질 GDP 역시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물가가 높게 나와서 아무래도 명목 GDP 보다는 성장률이 완만하게 유지되고 있는 상황이라 할 수 있습니다. (* 2019년에서 2020년을 제외하고는 완만한 오름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실질 GDP 자체도 2020년 코로나 시기를 제외한다면 소폭이나마 계속하여 상승되고 있었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한국 실질 GDP 성장세는 글로벌 경제상황, 미중 무역전쟁, 팬데믹 등으로 영향을 받았습니다. 특히 코로나 팬데믹은 우리 경제에 단기적인 충격을 줬는데 이후 회복세를 보이며 점차 성장 궤도에 복귀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 한국은 수출 주도 경제 특성상 글로벌 수요 회복과 함께 실질 GDP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지만 세계 경제 불확실성, 내수부진, 전쟁등은 여전히 우리 경제 성장에 부정적 요소입니다.
질문하신 한국의 실질 GDP의 성장세는 다음과 같습니다.
한국의 실질 GDP 성장세는 1998년 IMF와 2020년 코로나 시절을 제외하곤
늘 견조한 성장세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심지어 2009년 위기 때에도 0.9% 성장하였습니다.
안녕하세요
한국의 실질GDP도 명목 GDP와 동일하게 우상향 추세에 있습니다
다만 성장률면에 있어서 실질 GDP는 명목 GDP에 비하여 매우 낮습니다.
그 이유는 물가상승률이 그만큼 높아졌다는 것이고 아직 물가가 성장률을 앞서진 못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나라의 실질 GDP 역시 상승세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https://www.index.go.kr/unify/idx-info.do?idxCd=5001
를 참고하시면 됩니다.
물가 수준을 반영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실질 GDP는 현재 상승세입니다.
최근 몇 년간 한국의 실질 GDP 성장률은 2%에서 3% 사이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는 세계 경제의 불확실성과 국내외 여러 요인으로 인해 변동이 있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