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지구광(지구조)는 어떤 현상이고 하는 역할은 무엇인가요?

달의 현상과 관련된 과학 용어중에

지구광(지구조)라는 현상이 있던데

지구광(지구조)라는 현상은 어떤 것을 설명하는 용어인가요?

그리고 지구광(지구조)현상이 발생할 때

그런 현상이 지구에는 어떤 영향을 주는 것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똑똑한저어새12
      똑똑한저어새12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광(지구조)은 달의 어두운 면이 희미하게 빛나는 현상입니다. 이는 지구에서 반사된 태양빛이 달의 어두운 면을 비추기 때문에 발생하며, 초승달 또는 그믐달 단계에서 맑고 어두운 하늘에서 관찰할 수 있습니다. 지구광은 달의 밝기를 약간 증가시키고, 더 많은 표면 특징을 관찰할 수 있도록 돕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광 혹은 지구조는 달의

      표면에서 볼 때

      나타나는 빛의 현상입니다

      달이 태양으로부터의

      직접적인 빛을 받지 않을

      때에도 발생합니다

      이런 빛은 지구에서

      반사된 태양빛이 달의

      표면으로 도달할 때

      생기는 것입니다

      신월 기간에 달이 완전히

      암흑 속에 잠길 것으로

      예상되지만 지구광으로

      인해 그렇지 않게 됩니다

      달의 어두운 부분에

      산산이 흩어진 빛이

      비치기 때문입니다

      지구광은 달 전체가

      아니라 그저 희미하게

      빛나는 형태로 나타납니다

      달의 나머지 부분이

      어두운 밤에도 빛나는

      모습을 관측할 수 있는

      까닭이 지구광 때문입니다

      지구에서 볼 때

      신월이나 초승달 때

      달의 전체 윤곽이

      지구광에 의해

      보일 수 있습니다

      지구광이 지구의

      환경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는 것은

      아닙니다

      그러나 맑은 밤하늘이

      필요해 대기의 상태를

      나타내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학문적으로 이 현상은

      대기 연구에 활용되어

      지구 대기의 특성을

      파악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에서 반사된 태양의 빛이 달의 어두운 부분을 희마하게 비치는 현상으로 특히 초승달의 앞뒤에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지구의 빛이 달에 다시 반사되어 비치는 것으로 밤에 밝기는 조금 더 밝을듯 하고 특별히 영향은 없어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광(지구조)은 지구의 대기 중에 존재하는 가스나 입자들이 태양으로부터 오는 자외선(UV) 및 가시광선을 흡수하고 다시 방출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 과정은 대기 중의 분자들이 에너지를 흡수하고 이를 다시 방출함으로써 지구를 보호하고 온실 효과를 유발합니다. 지구광은 태양의 유해한 자외선을 흡수하여 지구 표면의 온도를 안정화시키고 생물에게 유해한 자외선을 차단하여 생명을 지키는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