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청렴한치타291
청렴한치타291

영원한 생명을 가진다는 해파리의 능력은 어떤 원리인가요?

영원한 생명을 누린다는 생물이라면

랍스터를 생각했었는데

그 외에

바다에서

특정 해파리가

영생을 누리는 능력을 가졌다고 언뜻 봤습니다.

기본적으로

생물이라면

유전정보를 담은 DNA가 분화에 따라 손상되고

염색체 말단 텔로미어가 세포 분열 때 마다 점점 짧아지면서

일정수준이하로 짧아지면 결국 분열을 못하게 되어

노화로 접어 든다고 대충 아는데요.

그외에도

활성산소로 인해 세포복구가 잘 안되는 것도 있다던데

그럼 그 영생을 누린다는 해파리는

유전자 길이가 전혀 안짧아 진다는 말인가요?

어떤 방식으로 영생의 과정을 거친다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아직 모든 게 명확하게 밝혀진 건 없습니다. 다만, 세포를 성숙 상태에서 다시 미분화 상태로 되돌리는 전분화(dedifferentiation)을 통해 노화 경로 자체를 우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말씀하신 해파리는 '작은보호탑해파리' 또는 '붉은해파리'라고 불리는 'Turritopsis dohrnii'입니다.

    이 해파리는 특정 조건 하에서 나이를 거꾸로 돌려 다시 어린 시절의 폴립 상태로 돌아갈 수 있는 특별한 능력을 가지고 있어 '불멸의 해파리'라고도 불립니다.

    이 해파리의 가장 핵심적인 능력은 바로 '세포의 역분화'라는 현상입니다. 일반적인 생물은 세포가 특정 기능에 맞춰 분화하면 다시 이전의 상태로 돌아가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Turritopsis dohrnii는 해파리 형태에서도 심각한 환경 변화나 물리적인 손상, 혹은 노화가 진행될 경우, 자신의 모든 세포를 다시 어린 폴립 상태로 되돌릴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을 통해 해파리는 손상된 세포를 초기 상태로 되돌리고, 사실상 생물학적인 죽음을 피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해파리는 성체에서 다시 유생시기로 퇴행이가능한데,

    세포가 다시 초기화되는 역분화 과저이라고도합니다.

    생물학적 나이를 리셋하는것이고,

    텔로미어와같은 길이 손상도 리셋과정에서 복구된다고합니다.

    즉, 노화대신 주기적으로 자신을 다시 젊게만드는 비법을 가지고있다는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영생을 가진 해파리, 투리토프시스 도르니는 특정 환경 조건이나 손상 시 성체에서 어린 폴립 형태로 되돌아가는 능력을 가집니다. 이 과정을 역분화라고 하며, 손상된 세포를 복구하는 대신 아예 젊은 단계로 돌아가 새로운 개체로 성장할 수 있게 합니다. 텔로미어 손실을 막거나 DNA 손상을 복구하는 특별한 메커니즘과 관련된 유전적 연구가 진행 중이지만, 정확한 영생 원리는 아직 완전히 밝혀지지 않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