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활달한거북이38
활달한거북이3823.07.29

경제학 용어 중에 기수적 효용이 무엇인가요?

철학에 관련한 기사를 확인하던 중에

"자본주의 경제학은 벤담의 쾌락이론을 바탕으로 효용이론이 만들어지고 정교화됩니다. 원래부터 벤담은 쾌락을 수량화(數量化)할 수 있다고 생각을 했는데 자본주의 경제학자들은 근사하게 그것을 수량화하여 효용이론(utility theory)을 만들었습니다. 그런데 그 효용이론이라는 것이 사실 말장난에 불과합니다. 쾌락을 수치화하는 과정에서 기수적 효용(Cardinal Numeral utility : 절대적 수량의 차이에 따른 만족도)" 내용이 있던데,

여기에서 기수적 효용이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간단히 이야기하면 개인이 느끼는 효용을 수치화 할 수있어서 수치로 비교가 가능하다는 이야깁니다.

    기수적 효용은 효용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것으로 보는 반면 서수적 효용은 숫자를 단지 선호의 강도 차이라고 생각하여 순서를 구분하기 위한 장치로만 사용합니다.


    두 종류의 효용 모두 선택지 간의 순서를 구분할 수 있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 오렌지쥬스 한 잔이 120 만큼의 효용을 주고 차 한 잔은 80 만큼의 효용을, 물 한 잔은 40 만큼의 효용을 준다고 가정해보면, 기수적 효용으로 말한다면, 오렌지쥬스 한 잔과 차 한 잔의 효용 차이는 차 한 잔과 물 한 잔의 효용 차이와 정확히 같습니다. 그러나 쥬스 한 잔이 물보다 세 배만큼의 효용을 준다고 말할 수는 없는데, 효용이 0인 지점을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참조:위키백과


  •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효용을 심리적인 만족 내지는 욕구를 측정하는 양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기수적으로 측정 가능하다고 생각하였다. 이것이 기수적 효용이다. 예를 들어 어떤 사람이 사과 한 개의 효용이 10이고 배의 효용이 5이라면, 사과의 효용은 배의 그것에 비해 꼭 2배의 만족을 얻고 있다는 것이다.


  • 안녕하세요. 김나경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수적 효용이란 주관적인 만족감을 의미하는 효용을 구체적인 단위로 측정한 효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수적 효용 (cardinal utility)이란 주관적인 만족감을 의미하는 효용을 구체적인 단위로 측정한 효용입니다. 기수적 효용에서는 사과의 효용은 200, 배의 효용은 100이라고 측정한다고 합니다. 기수적 효용을 바탕으로 전개된 소비자이론이 한계효용이론 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초기의 효용이론에서는 효용을 심리적인 만족 내지는 욕구를 측정하는 양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기수적으로 측정 가능하다고 생각하였으며 이것이 기수적 효용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효용이란 특정한 개인이 일정량의 재화를 소비함으로써 얻는 주관적 만족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효용은 주관적인 것이므로 소득이 같더라도 사람 에 따라 같은 재화에 대한 효용은 달라질 수 있고, 또 같은 개인이라도 그의 경제사정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다. 이에 대해 초기의 효용이론에서는 효용을 심리적인 만족 내지는 욕구를 측정하는 양의 개념으로 파악하고, 기수적으로 측정 가능하다고 생각하였고 이것이 기수적 효용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기수적 효용은 경제학에서 사용되는 개념으로, 소비자의 만족도를 수치적으로 측정하거나 비교할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합니다. 즉, 소비자가 각 상품이나 서비스에 대해 얼마나 만족하는지를 수치로 표현하는 개념입니다.

    기수적 효용은 소비자의 선호도를 표현하는 용어로 사용되며, 소비자가 다양한 상품이나 서비스를 어떻게 순위를 매겨서 선호하는지를 수치로 나타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