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아리따운안경곰70
아리따운안경곰70

트럼프가 러시아에 50일 내에 휴전이 없으면 혹독한 관세를 부과한다고 했는데 조력국도 포함이 된답니다 러시아 경제나 조력국들 경제에 실질적인 타격이 가능한 건가요?

트럼프가 러시아에 50일 내에 휴전이 하지 않을 시에

혹독한 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하였고

러시아에 대한 조력국도 여기에 포함된다고 하더군요

중국도 러시아에 대한 조력국에 들어가는 건가요?

만약 종전을 하지 않는다면 러시아나 조력국들은 실질적으로 미국의 관세에 의해 경제적 타격이 불가피 하나요?

아니면 천연자원 떄문에 큰 타격이 없을 가능성도 있는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이번 트럼프의 혹독한 관세 부과가 러시아 경제나 조력국에

    경제에 실질적인 타격이 되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일단 러시아를 돕는 나라는 북한이나 동유럽 의 소수 국가이기 때문에

    사실 이런 정책이 그들에게 큰 타격을 주기에는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힘찬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가 러시아에 대한 혹독한 관세를 예고하면서 조력국까지 포함하겠다는 입장은 경제적으로 상당한 압박 수단이 될 수 있어요.

    중국도 러시아의 주요 조력국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중국처럼 미국과 교역 규모가 큰 나라는 현실적으로 전면적인 관세 충돌은 부담이 커요.

    러시아는 에너지 및 원자재 수출 비중이 높기 때문에 일부 국가는 여전히 의존할 수밖에 없지만, 관세가 실제로 시행되면 무역 비용 증가와 수출 감소로 러시아와 일부 조력국 경제엔 실질적인 타격이 올 가능성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 관세는 중국 등 조력국 포함 가능성이 높으며 중국은 미국 수출비중이 커서 타격 가능성이 있습니다.

    러시아는 자원 수출로 버티겠지만, 장기적으로는 경제 위축이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트럼프가 러시아와의 갈등과 우크라이나와의 대외 전쟁으로 인한 갈등을 휴전을 맺길 원하며 일정한 시간내에 휴전을 하지 않을 경우 관세를 부과하는 것을 언급하였습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러시아와의 우호국에 대한 것은 언급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부분도 충분히 꺼낼 수 있는 카드라고 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다만 이러한 러시아와 미국의 무역갈등에 따른 관세조치는 러시아에게 직접적인 무역의 할당량은 적다고 하더라도 관계가 악화되는 점을 고려한다면 이는 부정적인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100% 관세는 사실상 해당 품목의 무역을 중단시키는 수준의 매우 높은 관세입니다. 만약 러시아의 주요 수출품에 이러한 관세가 부과된다면, 러시아 경제에 상당한 타격이 예상됩니다. 이미 서방의 제재로 인해 러시아의 대비 무역액은 크게 감소한 상태입니다. 러시아는 세계적인 천연가스, 석유 등 에너지 자원 부국입니다. 유럽 국가들의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가 높았기 때문에, 서방의 제재에도 불구하고 러시아는 에너지 수출을 통해 경제적 버팀목을 마련해왔습니다. 그러나 미국이 '2차 관세'를 통해 러시아산 원유를 구매하는 국가들까지 제재 대상으로 삼는다면, 러시아의 에너지 수출에도 간접적인 타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럽 등 주요 소비국이 러시아산 에너지에 대한 의존도를 완전히 끊기 어려고, 러시아가 다른 시장으로 수출선을 다변화할 수 있다면 타격이 일부 상쇄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