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정말까다로운카피바라
정말까다로운카피바라

전기는 얼마나 더 생산 할 수 있을까요?

AI 때문에 전기 수요가 늘거라고 합니다.

전기는 얼마나 더 생산 할 수 있을까요?

지금 생산량의 10배도 가능 할까요?

원자력 발전소를 늘릴 수 있나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ai가 지속적으로 발전하면서 더 많은 ai가 적용되고그러면서 더 많은 전기가 필요합니다. 보통 예상하기에 3~4배정도의 전기가 10년뒤에는 필요할것으로 예상합니다. 지금 가장 중요한 것들은 원자력 발전소로 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그것도 설치하고 폐기 처리하고 하는 것의 어려움이 있습니다. 그래서 현재 기존 발전소 외에 재생에너지인 태양광, 풍력, 조력 등등 여러가지 발전소가 지어지고 있습니다. 그리고 ai를 통해서 수요 공급에 대해서 조절하고 그에 따른 에너지 효율과 분석을 통해서 지속적으로 전력 분배와 수급을 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기는 발전소 설비를 얼마나 더 설치하느냐에 따라 달라지겠죠. 이는 정부의 연간전력예상소비량에 따라 정해지는거라 무작정 더 많이 생산하지는 않는겁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생산량은 이론적으로는 기술과 자원 인프라 확충에 따라 지금의 10배 이상도 가능하지만 현실적으로는발전시설 건설비 환경 규제 송전 인프라 한계 등이 제약 요인입니다 원자력 발전소를 늘리면 대규모 전력 공급은 가능하나 안전성 등 여러 문제로 인해 발전소를 늘리는데는 한계가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최정훈 전문가입니다.

    실제로도 AI로 인해서 전기 수요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어서 세계 전력 생산량은 연평균 약 4%씩 꾸준히 늘어날 전망이에요.

    또, 전기 현재 생산량의 10배 증가는 단기적으로는 매우 어렵습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는 원자력과 재생에너지 확대를 통한 대응이 가능합니다. 특히 원자력 발전소는 건설 기간이 길고 규제가 까다롭지만, 중국, 한국 등에서 신규 건설을 추진 중이며 소형모듈원자로가 미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지금 한국에서도 정부에서 주도로하는 3세대 소형모듈원자로가 개발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준연 전문가입니다.

    전기는 그렇게 단순하지 않습니다. 전기를 많이 사용할것 같으니 전기 10배 이상을 생산할수 없습니다. 가능은 하지만 발전소를 만드는데 수십년에 시운전까지 단기간에 이뤄지지 않습니다. 원자력 발전소를 짓는데 최소 10년이며 지을장소 부터 시작해 환경적제약도 많습니다. 현실 가능하지 않는다고 생각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