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생활

생활꿀팁

시크한타킨216
시크한타킨216

두뇌증명(POB)은 채굴이라기 보다는 보상에 가깝지 않은가요?

콘텐츠를 작성하고 추천하는 행위에 따라 스팀으로 보상을 해주는 두뇌증명(POB: Proof Of Brain) 합의알고리즘 방식은 자원을 투여하는 전통적인 채굴방식과 달리 활동에 대한 보상의 성격이 강한 듯 한데요.

두뇌증명을 알고리즘상의 활동을 보상이라 하지 않고 채굴이라고 부르는 이유는 무엇인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까칠한담비242
      까칠한담비242

      질문자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Proof of Brain(POB)라는 것은 우리가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합의 알고리즘이라기 보다는 STEEM 블록체인의 네이티브 Dapp인 스팀잇 서비스와 관련된 암호화폐 보상의 특성을 나타내기 위해 사용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즉,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합의 알고리즘이라기보다는 STEEM 블록체인 상에서 어떤 행위와 절차로 암호화폐가 보상으로 제공되고 가치를 가지게 되는지를 '두뇌 증명 방식'이라는 개념으로 나타낸 것입니다.

      그리고 실제로 스팀 블록체인의 블록 생성은 DPOS 합의 알고리즘에 따라 '증인'들이 담당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보상은 '리워드 풀'에서 주어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채굴이라는 용어보다는 보상의 개념이 더 적절해 보입니다.

      끝으로 채굴이라는 용어와 보상이라는 용어를 엄밀하게 따져보자면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보상이라는 용어가 더욱 적절하겠지만 넓은 의미에서 우리가 일반적으로 코인 보상을 얻는 것을 채굴이라고도 말하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지 않나 싶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두뇌증명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 두뇌증명(PoB; Proof of Brain)이란?

        • 스팀잇이나 아하(A-ha) 같이 지식정보 활동을 통해 질문자는 답변자의 답변을 채택 또는 해당 포스팅에 보팅하므로써 토큰을 확득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 이때 블록생성자(BP)는 해당 정보를 통해 블록을 생성하게 됩니다.

        • 스팀잇 보상채계

          • 컨텐츠 작성자 및 큐레이터 : 75%

          • 기득권 토큰 소유자 : 15%

          • 스팀 블록생성자(DPoS) : 10%

      • 두뇌증명은 지식과 정보를 제공하여 암호화폐를 획득하는 방식으로 원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대가를 받는 행위가 거래를 검증하고 블록을 생성하여 보상을 받는 "채굴" 행위와 같기 때문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