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부분의 활엽수들은 늦가을이 되면 잎을 떨어뜨려 겨울을 나는데, 이렇게 잎을 떨어뜨리는 이유는 뭘까요?
요즘 날씨가 쌀쌀해져서 낙엽이 많이 떨어지고 있네요.
대부분의 활엽수들은 늦가을이 되면 잎을 떨어뜨려 겨울을 나는데, 이렇게 잎을 떨어뜨리는 이유는 뭘까요?
활엽수가 늦가을에 잎을 떨어뜨리는 것은 겨울에도 살아남기 위한 생존 전략입니다.
겨울철에는 기온이 낮고 공기가 건조해 잎을 통해 많은 양의 수분이 증발됩니다. 잎을 떨어뜨림으로써 수분 손실을 최소화하고, 뿌리에서 흡수한 수분을 줄기와 가지에 집중시켜 동해를 방지합니다.
또 잎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햇빛을 이용한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생산해야 합니다. 하지만 겨울철에는 햇빛이 부족하고 기온이 낮아 광합성 효율이 떨어집니다. 잎을 떨어뜨려 에너지 소비를 줄임으로써 생존에 필요한 에너지를 비축할 수 있는 것이죠.
게다가 잎은 병원균과 해충의 서식지가 될 수 있습니다. 잎을 떨어뜨림으로써 병해충의 번식을 억제하고, 건강한 상태로 겨울을 날 수 있습니다.
활엽수는 겨울철 추위와 물 부족에 대비하기 위해 잎을 떨어뜨립니다. 잎은 광합성을 통해 에너지를 얻는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동시에 수분을 증발시키는 통로가 됩니다. 겨울에는 물의 흡수가 제한되고 광합성 효율도 낮아지기 때문에 잎을 유지하는 것이 에너지 소모 측면에서 비효율적입니다. 따라서 잎을 떨어뜨려 물과 에너지를 보존하고, 눈의 무게로 가지가 부러지는 위험도 줄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상현 전문가입니다.
잎을 유지하기위한 양분을 아끼고 수분손실을 막기위함입니다. 겨울철에는 잎의 기공을통해 수분손실이 일어나고, 광합성효율이 좋지않아 잎이사용하는 에너지가 더 많아집니다.
나무는 줄기와 잎사이 떨켜를 막고, 물이공급되지 못하는 나뭇잎은 점점말라비틀어져 힘이약해지고 떨어지게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잎에는 기공이라는것이 있어 수분손실이 잘일어나게합니다. 잎이넓은식물은 겨울동안 몸전체의 수분손실을 막기위해 잎을떨어트립니다.
사철나무라불리는 침엽수들은 잎이 바늘형태라 이러한 작용이 거의일어나지않고, 굳이 잎을 떨어뜨리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활엽수가 늦가을에 잎을 떨어뜨리는 것은 주로 겨울철 가혹한 환경에서 생존하기 위한 적응 전략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과정은 탈리(abscission)라 불리며, 활엽수는 이를 통해 겨울 동안 에너지를 절약하고 물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에 기온이 떨어지면 수분이 동결되고, 토양 속의 물이 동결되어 식물의 뿌리가 물을 흡수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잎이 남아 있으면 증산 작용(transpiration)을 통해 지속적으로 수분이 증발하게 되며, 이는 식물 내부의 수분 부족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잎을 떨어뜨림으로써 활엽수는 수분 손실을 줄이고, 필요한 수분을 유지하며 생존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잎을 유지하면 눈이 쌓이면서 가지에 무게가 가해져 부러질 가능성이 커지므로, 낙엽은 이와 같은 물리적 손상을 방지하는 데도 기여합니다. 이러한 적응은 다양한 활엽수 종들이 계절 변화에 대응하며 진화해 온 결과이며, 특히 겨울이 추운 온대 지방에서 더욱 두드러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