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무역

알뜰한참매216
알뜰한참매216

우리나라의 반일운동은 언제부터 시작했나요?

일본이 우리나라를 빼앗고 무기를 만들고 팔아서 전쟁을 일으킨 뒤 부자가 되었잖아요.

그래도 과거의 잘못된 역사를 뉘우치지 않고 한국을 식민지로만 봤죠.

또 물건을 많이 만들어서 전 세계로 팔아넘긴 뒤 더 부자가 될 생각만 하는 사람들이 많았죠.

언제부터 일본제품을 안 사는 불매운동을 하기 시작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재민 관세사입니다.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의 최초는 2012년 8월에 일본 정부가 독도를 일본 땅으로 주장하기 위하여 독도의 날을 제정 했을 때 발발 되었습니다. 이 때 일본의 이온그룹과 세븐일레븐 등에서 독도를 일본땅으로 표기한 지도를 판매하자 더욱 논란은 불거졌고 일본 상품의 불매 운동이 시작되게 되었습니다.

      그 다음에는 2019년 7월 일본 정부가 한국에 대한 수출통제 조치를 취하였고 이로서 일본 상품에 대한 불매 운동이 다시 붉어졌습니다. 특히, 일본 기업인 유니클로에서 일본 정부를 지지하는 입장을 표명하고 대한민국이 반발한 말한 언급 등을 함으로서 더욱 거세졌고 한동안 일본 제품 불매 운동이 지속되어 왔습니다.

      현재는 어느 정도 소강 상태로 일본 불매 운동은 잠시 쉬고 있는 시점입니다.

      답변 내용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되시길 바랍니다.

      '추천' 및 '좋아요'를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박재민 관세사 드림

    • 1.역사적으로 일본제품 불매운동을 살펴보면

      1) 1920년 일제강점기의 물산장려운동으로 근현대 최초의 일본제품 불매운동

      2) 1974년 히타치가 재일교포의 취업을 차별했다는 이유로 한일협정이 체결된 1965년 이후 일본제품에 대한 첫 불매운동

      3) 1992년 위안부 모집문서가 발견되어 일본의 주장이 거짓으로 드러남

      4) 1995년 역사 바로 세우기 및 일본담배 퇴출운동

      5) 1996년 일본 정부의 독도에 대한 영유권 주장

      6) 2001년 일본의 한 출판사가 역사 왜곡 교과서를 제작

      7) 2005년 일본의 한 지자체가 다케시마의 날 조례를 제정

      8) 2008년 일본이 자국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를 명기함

      9) 2013년 일본 정부에서 다케시마의 날 행사에 정부관료 파견

      10) 2019년 7월 일본 총리인 아베 신조가 한국에 대해 수출통제조치로 한국에서 일어난 일본제품 불매운동 등

      2. 역대 일본제품 불매운동은 일제강점기, 1974년, 1995년을 제외하면 과거사와 독도에 관련된 일본의 움직임에 자극받아 일어난 것들입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우리나라의 반일감정은 약 120년전부터 시작되어 1945년 끝난 식민지 역사외에도 임진왜란 등 여러가지의 사유로 많이 있었을 것으로보입니다.

      다만, 우리나라의 불매운동 등 반일감정이 나타나는 경우는 특정 회사에 자주 발생하는 편이며, 정치적인 이슈가 있을때도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