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한국은행 기준금리 결정위원회에서
오늘 한국은행 기준금리 결정위원회에서 7차례 연속으로 금리동결을 결정했는데 향후 금리전망 및 인하된다면 그 시기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미국의 기준금리를 따라가야 하는데, 이는 미국의 기준금리 변동에 따라서 달러환율의 변동이 결정되기 때문이에요. 미국보다 빠른 금리인하가 시작되는 경우에는 달러환율이 빠르게 상승할 수 있기 때문에 미국의 기준금리 인하가 예상되는 내년 중순쯤부터 우리나라 또한 금리를 인하하게 될 가능성이 높아요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먼저 미국의 기준금리는 내년 하반기가 지나야 인하가 시작될 것이라고 전망합니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역시 내년 하반기가 지나야, 금리 인 하가 본격적으로 시작 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는 내년까지도 고금리 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미국의 금리 방향이 중요한데 미국도 상반기까지는 지속적인 동결을 진행할 가능성이 높고,
미국의 금리인하가 시작된 이후에 한국은 천천히 금리인하를 반영하여, 한미간 기준금리를
키맞추기가 들어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결론적으로 내년 7월쯤 되어야 우리나라의 첫 인하가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정민교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금리 방향을 판단하기 위해서는 미국 금리 정책을 이해해야 합니다
대다수의 전문가들은 12월 FOMC 에서 금리 동결을 예상하고 있으며, 많은 시장참여자들이 바라는 금리 인하는 내년 상반기 정도에 시작될 것이라는 의견입니다. 다만, 금리 인하가 인플레이션의 완화에 따른 것인지, 경기침체에 따른 기업, 금융기관의 파산 조짐에 따른 것인지는 예의주시하여야 합니다. 만약 미국의 금리 인하가 시작된다면, 후자인 기업 또는 금융기관의 파산에 따른 경기침체로 기인한다고 보는 시각이 우세합니다. 다시 말씀드리면, 경기침체 신호가 없는 이상 금리 인하는 명분이 없다는 것입니다
한국의 금리 동향 또한 미국 금리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으므로, 미국 금리 동향을 예의주시하여야 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한국은행총재는 오늘 기자회견에서 물가가 안정될때까지 상당기간동안 금리동결을 하겠다고 언급했고 물가가 다시 오를경우 기준금리 인상을 하겠다고 했습니다 기준금리 인하는 내년 하반기 이후 정도 아닐까 싶네용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미국의 움직임에 따라서 우리도
달라질 것으로 보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 예측하기 힘드나
내년 하반기부터나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