키스톤3프로에서 키스톤3프로로 비트코인을 전송하는 방법이라는데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A단계 – 비트코인 수신 주소 준비하기 (B키스톤3프로)
① B키스톤3프로에서 비트코인 지갑을 연다
② ‘Receive’(수신) 옵션을 선택한다
③ 비트코인 주소가 생성되면, 이 주소를 QR 코드 형태로 전환
B단계 – 비트코인 전송 준비(A키스톤3프로)
① A키스톤3프로에서 비트코인 지갑을 연다
② ‘Send’(전송) 옵션을 선택한다
③ B키스톤3프로에서 생성한 수신 주소를 QR 코드로 스캔
④ 전송할 금액 입력 (ex- 테스트를 위해 2만원어치의 비트코인 입력)
⑤ 입력이 완료되면, 거래를 확인하고 서명을 진행
C단계 – 서명 및 거래 완료
① A키스톤3프로에서 생성된 거래 QR코드를 스캔하여 서명
② 서명이 완료되면, 거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
③ 비트코인 네트워크에서 거래가 확인되면, B키스톤3프로에서 비트코인을 수신됨
상기 내용이 키스톤3프로에서 다른 키스톤3프로로 바로 비트코인을 전송하는 방법이라는데 궁금한점이 있습니다.
마지막 C단계에서 키스톤3프로는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방식인데
"서명이 완료되면, 거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 이 단계가 이해가 되질 않습니다.
기기간 QR 코드로 전송으로 끝나는게 아니고 마지막 단계에서는 이 전송이 됬다는 것을 인터넷에 연결해서 알려야 하는것입니까?
어떻게 해야 하는건가요?
키스톤3프로와 같은 콜드월렛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비트코인 전송을 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 C단계에서 서명이 완료되면, 거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것은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이루어집니다.
1. 거래 서명: A키스톤3프로에서 비트코인 전송을 위해 서명을 하면, 해당 서명은 A키스톤3프로 내부의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됩니다.
2. 거래 전송: A키스톤3프로에서 B키스톤3프로로 비트코인을 전송할 때는, A키스톤3프로와 B키스톤3프로가 서로 QR 코드를 스캔하여 거래 정보를 교환합니다. 이때, A키스톤3프로에서 서명한 거래 정보가 B키스톤3프로로 전송됩니다.
3. 거래 확인: B키스톤3프로에서는 A키스톤3프로에서 전송된 거래 정보를 확인하고, 해당 거래에 대한 서명을 합니다.
4. 블록체인 네트워크 전송: B키스톤3프로에서 서명한 거래 정보는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되어 거래가 완료됩니다.
즉, 키스톤3프로와 같은 콜드월렛은 인터넷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기기간 QR 코드를 스캔하여 비트코인 전송을 할 수 있으며, 마지막 단계에서 거래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것은 B키스톤3프로에서 서명한 거래 정보가 블록체인 네트워크로 전송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마지막 단계에서 인터넷에 연결할 필요는 없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