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개미란 책에보면 개미수열이란게 나오는데요 개미수열이 몬가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개미란 책에보면
개미수열이란게 나오는데요
개미수열이 몬가요?
왜 개미수열이라고 하나요?
개미수열의 효과나 이용도가 있는건가요?
개미란책을보다가 궁금해서 문의해 봅니다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미수열은 수학적으로 흥미로운 성질을 가지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응용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개미수열은 반복 길이 부호화 (Run-length encoding)라는 비손실 압축 방법과 유사합니다.
이 방법은 데이터에서 같은 값이 연속해서 나타나는 것을 그 개수와 반복되는 값만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며, 아이콘, 간단한 이미지와 같이 연속된 값이 많이 있는 데이터에 효과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1
11
12
1121
122111
112213
12221131
1123123111
.
.
.
첫항이 1
즉, 1이 1개
따라서 둘째항은 11
둘째항을 보면 1이 2개
따라서 셋째항은 12
셋째항을 보면 1이 1개 2가 1개
따라서 넷째항은 1121
넷째항을 보면 1이2개 2가 1개 1이 1개
따라서 다섯째항은 122111
다섯째항은 1이 1개 2가 2개 1이 3개 있으므로
여섯째 항은 112213
이런식으로 나간다.
이수열은 베르나르베르베르의 '개미'라는 소설에 나오는 수열이다.
그래서 개미수열이라고 부른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개미수열>
읽고 말하는 대로 다음 항을 도출하는
수열이다. 보통은 초항이 1이지만,
다른 수를 초항으로 설정하기도 한다.
보고 말하기 수열이라고도 하며,
프랑스의 유명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에
등장한다고 하여 개미 수열이라고도
한다. 이 수열은 일상적 언어를 사용한 구술적인 방식으로 정의되기에,
엄밀한 수학적 표현으로 정의되는
여타 수열과 달리 일반항이나 점화식이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콘웨이의 생명 게임으로 유명한
존 호튼 콘웨이가 만들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미수열은 원래 이름은 읽고 말하기 수열이라 하며 앞의 항을 읽어 다음 항을 만드는 수열입니다.
안녕하세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책 '개미'에서 언급되는 개미수열은 다음과 같은 수열을 말합니다:
1, 1, 2, 3, 5, 8, 13, 21, 34, 55, 89, 144, ...
이 수열의 규칙은 각 항이 이전 두 항의 합인 것입니다. 예를 들어, 3번째 항은 1번째 항과 2번째 항의 합인 2가 되고, 4번째 항은 2번째 항과 3번째 항의 합인 3이 됩니다. 이러한 규칙으로 수열이 이어져 나갑니다.
이 수열은 자연계에 많이 나타나는데, 예를 들면 꽃잎의 배열이나 나무의 가지 분기 등에서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컴퓨터 과학에서도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개미수열은 데이터 압축이나 정렬 알고리즘 등에서 활용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 추천 부탁드려요~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개미수열
『수학』 앞의 항을 읽음으로써 다음 항이 정의되는 수열. 첫째 항이 1이며, 둘째 항은 첫째 항인 1에서 1이 한 개라는 뜻인 11, 셋째 항은 둘째 항인 11에서 1이 두 개라는 뜻인 12로 진행되는 수열이다. 소설 <개미>에 소개되면서 개미 수열이라고 불리게 되었다.
-출처 다음백과
https://dic.daum.net/word/view.do?wordid=kkw000351825&supid=kku010044100
안녕하세요. 이진광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개미수열은 프랑스 소설가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에 등장해 유명해진 수열이다. 개미 수열의 원래 명칭은 '읽고 말하기 수열'로, 앞의 항의 수를 연속한 같은 수의 개수로 묶어 읽는 방식으로 다음 항을 구한다.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를 통해서 알려진 개미 수열의 원래 이름은 일고 말하기 수열이라고 합니다.. 말 그대로 앞의 항을 읽어 다음 항을 만드는 수열을 뜻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