왼쪽 어깨부터 팔꿈치 위까지 알배긴듯 아파요

2021. 03. 29. 07:44

두달 정도 된 것 같은데 처음엔 알 배긴 것 처럼 아파서 잠을 잘못잤나?? 하고 매일 스트레칭 하던 걸 시간을 더 늘려서 했거든요.. 잠잘때는 항상 천장을 보고 잡니다. 근데 계속 아프고 그냥 손을 위로 쭉 뻗었을 땐 안아프고 뒤로 젖히면 알배긴 느낌처럼 아프네요.. 매일 서서 일하다가 앉아있는 시간이 길어져서 자세가 안좋아졌다고해도 한쪽만 지금 계속 그러니 좀 이상하네요.. 정형외과 가서 엑스레이 찍어도 이상이 없다고하고 저한테 옆으로 자서 그런거 같다고 하시더라구요?? 물리치료도 한 5~6번 받았는데 효과가 없어서 그냥 안가고 있거든요.. 목이나 허리디스크인건가요...ㅜㅜ

MRI 찍어야되는건지... 비용이 많이드는걸로 알고있는데.. 만약 MRI를 찍어야한다면 실비적용이 어떤식으로 되는지 궁금합니다..보통 입원도 해야한다던데 자세히 모르겠어서요ㅜㅜ..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아하에 질문하고 궁금증을 해결하세요! 지금 가입하면 125AHT을 드려요!

총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주경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오십견의 가능성이 있으니 병원에 내원해서 진단을 받아보시는것이 좋습니다.


어깨관절을 해부학적으로 보았을때 

어깨뼈와 뼈 사이에 관절낭이라고 하는 보호대가 존재하는데요

이러한 관절낭에 비정상적인 질환이 발생하였을때

오십견이 올수 있습니다.

보통 관절낭에 염증이 생기게 되면, 그 보호대가 단단해지고, 두꺼워지는 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보호대가 관절움직임을 방해하게 되어

통증과 어깨의 움직임에 제한을 두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완화시키기 위해

어깨를 위로 들어올리는 스트레칭, 외회전시키는 스트레칭, 내회전시키는 스트레칭 등을 꾸준히 진행해주셔야하며,

이러한 증상이 악화되시면

개방적 유리술 또는 관절경하 관절낭 유리술 등의 수술적인 방법을 취하셔야할 수도 있습니다.

2021. 03. 29. 22:22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호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원인의 가능성이 있는 오십견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보통 노화로 인해 어깨관절에 염증이 생기고, 부드러운 조직들이 단단하게 섬유화되는 과정으로 인해 오십견이 생기게 됩니다. 

    흔한 증상으로는

    어깨를 어떤 위치 이상으로 들려고 하거나 했을때 더이상 들어지지 않는 것이 있습니다.

    이를 완화시키기 위해

    비수술적방법에는

    스트레칭과 정기적인 물리치료가 있습니다.

    또한

    근육이완제같은 약물요법도 병행될 수 있습니다.

    수술은 이러한 비수술적 요법으로 효과가 없을때 진행됩니다.


    정형외과에 한번 내원해보시는것이 좋습니다.

    2021. 03. 29. 21:33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홍덕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실비 적용 여부는 보험회사에 물어보시는 게 제일 정확합니다.

      2. 목 디스크의 증상은 압박되는 신경에 따라 팔, 목 옆, 어깨, 가슴 등 다양한 곳에 통증이 생깁니다.

      팔의 증상은 초기에는 통증으로 시작해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저리거나 감각 이상 등 다양한 증상으로 나타납니다.

      신경 압박이 심한 경우 손아귀나 팔에 힘이 빠지기도 하고, 누워서 잘 수 없을 정도로 극심한 통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통증의 크기는 디스크 돌출 정도와 비례하는 것이 아니라, 어느 부분이 눌렸느냐에 따라 다릅니다. 심한 경우에는 하지마비가 생겨서 걷는 것이 어려워지기도 합니다.

      젊은 사람들은 연성 디스크 또는 파열성 경추 디스크인 경우가 많습니다.

      보통 과도한 스트레스나 운동, 무거운 물체를 드는 것 같은 극심한 압박, 교통사고 등이 있은 후 목과 한쪽 팔에 갑작스러운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연세 드신 분들은 주로 퇴행성 질환으로 디스크가 뼈처럼 딱딱하게 튀어나오면서 신경을 누르는 경성 디스크가 많습니다.

      목 디스크 환자의 대부분이 이런 경우입니다. 나이가 들면서 자연스럽게 퇴행성 변화가 있기 때문에, 디스크뿐만 아니라 뼈까지 이미 변형된 경우가 많고 신경관의 협착까지 일어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퇴행성 질환 자체를 아예 막을 수는 없고, 최대한 통증을 줄여 일상에 지장이 없도록 돕는 게 중요합니다.

      퇴행성 디스크의 경우, 만성적으로 목이나 어깨 통증이 있는 편이지만, 평상시에는 크게 심각성을 느끼지 못하다가 갑자기 심하게 아프다고 호소하시는 경우가 많습니다. 신경이 오랫동안 눌려 있었기 때문에 아주 작은 압박에도 갑자기 나빠지면서 통증이 확 커지기 때문입니다. 절뚝거릴 정도로 걷기 힘들어지거나 난간을 잡지 않으면 계단을 못 오르내릴 만큼 다리가 마비되는 경우도 있고, 젓가락질이나 단추 꿰는 일이 힘들 만큼 팔에 힘이 빠지기도 합니다.

      사지가 다 마비되는 심각한 경우도 있고, 퇴행성 질환과 목디스크가 심해져 척수신경병증으로 악화 됩니다.

      2021. 03. 29. 13:36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효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확답하긴 힘들지만, 오십견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오십견이란 다른 말로 유착성 관절낭염입니다.


        (1) 원인

        - 정확한 원인은 아직 정립되지 못했습니다.

        - 관절낭속의 염증에 의한것이라 추측되고 있습니다. 힘줄의 이상등으로 초래된다고 보고 되고 있습니다.

        (2) 증상

        - 흔히 말하는 오십견입니다.

        - 어깨 주위에 통증이 생깁니다.

        - 어깨가 아파 어깨를 쓰지 않으려고 하여 점점 안쓰기 시작하면서 더욱 통증이 심해지고, 굳어집니다.

        (3) 치료

        - 적극적인 자가 물리치료 요법

        - 약물치료

        - 레이저치료

        - 수술

        2021. 03. 29. 12:56
        답변 신고

        이 답변은 콘텐츠 관리 정책 위반으로 비공개되었습니다.

        신고사유 :
          답변 삭제

          이 답변은 작성자의 요청 또는 모니터링으로 삭제되었어요.

          이 답변은 비공개되어 본인만 확인할 수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