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비동염이 와서 이빈인후과를 다니며 항생제 복용중인데 치성부비동염 같다네요..
4월 쯤 기침과 재채기가 심하여 이빈인후과를 방문 했는데 내시경으로 콧 속 농을 보여주며
의사선생님이 부비동염 같다며 항생제 처방을 3주 정도 처방 받았었습니다.(일주일 간격으로 다른계열 항생제 처방)
일주일마다 호전이 되는 상황이었고 그 후 내시경 결과 농도 없고 염증도 없다 하여 치료가 완료된 줄 알았습니다.
이후 아무런 증상 없이 약 2달 동안 괜찮았다가
얼마 전 와이프가 코로나가 걸렸는데 저도 같이 감염이 되어 몸살과 두통으로 시름시름 앓다가 이빈인후과를
다시 방문했는데 의사선생님이 부비동염이 다시 재발한 거 같다며 CT를 찍어보자 하셨습니다.
CT를 보시더니 한쪽에 부비동염 농이 차있는데 이로인해 두통이 오는거였고 이게 원인이 치성 부비동염 같다면서
오른쪽 어금니를 보시고는 치아 뿌리에 염증이 있어서 치아 뿌리가 녹아서 부비동염이 온 것 같다며 치과를 가셔서
진료를 보시라고 권장하였는데요
이후 동네 치과를 가서 진료를 보고 엑스레이를 찍어보니 사진에 오른쪽 끝에 어금니 두개가 살짝 흔들리면서
치아 속에 염증이 차있는 거 같다. 발치를 해야 할 거 같다고 하셨습니다.
올해 초부터 평소에 찬물을 마시면 오른쪽 어금니가 시린 증상이 있었고(미지근한 물 마시면 괜찮음)
양치를 하거나 할 때 오른쪽 끝 어금니 부분이 살짝 흔들리는게 느껴지긴 했었었고
살짝 흔들리는 기분이 들었으며 가끔씩 잇몸이 부어서 욱씬 거리긴 했어서 그때마다 소염 진통제를 복용하면
괜찮아 지긴 했습니다.
여기서 질문인데 지금 치과를 한군데 가보고 내린 진단인데 혹시 다른 치과를 가서도 발치를 꼭 해야 한다고 할까요?
저는 최대한 오른쪽 이를 살리고 싶은 방향으로 가고 싶은데 동네 치과 의사선생님은 발치를 꼭 해야한다고 하시더라구요....
또한 발치를 하게 되면 부비동과 어금니 뽑은 부분 사이에 자칫 구멍이 뚫려서 천공이 생길수도 있다고 하셔서
더욱더 겁이 나는 상황입니다.
여기 저기 찾아보니 부비동과 어금니 사이에 천공이 생겨 부비동염이 더 심해지거나 콧 속에 음식물이 들어가기도 하고 숨실때 마다 숨쉬는게 입안까지 느껴진다고도 하는 글도 봐서 더욱더 걱정입니다.
일단 현재 항생제 복용을 하면서 부비동염 치료를 하고 있는 상태라서 어느정도 완료하고 나서
다음주쯤 증상이 회복 되면 와이프가 단골로 다니는 다른 치과를 가보려 하는데 (항생제 치료 현재 3주째)
꼭 발치를 진행해야 되는건지... 염증치료나 다른 치료로 치아를 살릴 수 있는 방법은 없는건지
그리고 천공이 생길수도 있다는게 100%는 아니지만 그럴수도 있다는 말이라고
의사선생님이 말씀하셨는데... 제일 걱정인 부분은 발치를 하면 꼭 천공이 생길까요??
천공이 생기면 부작용 때문에 걱정입니다.
사진 참고 부탁드리며 현재 복용 중인약은
레보플라정500(항생제), 코코스텔서방캡슐, 에코스텐정, 프라카논정, 펠루비 서방정입니다.
약학 정보원에 찾아보니 레보플라정500은 잇몸이나 치과랑 관련이 없다고 하는데
치과를 갔을시에 따로 항생제약을 처방을 받아야 하는지도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치아떄문에 생긴 상악동 염증이라면 발치를 하시고 나서 상악동의 염증도 같이 제거를 하시는게 좋을것같습니다. 이미 잇몸뼈가 많이 소실된 상태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사진으로 봤을 경우 치아 주변의 치조골이 이미 손실된것으로 보입니다.
치아를 지지하고 있는 치조골이 손상되면 치아를 살리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발치를 하게 됩니다.
자세한 확인을 위해서 치과에서 진료를 받아보는 것을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이정도면 대학치과병원의 구강외과와 이비인후과 협진 받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상악동 염증이 꽤 크네요. 이게 치성원인이라면 발치는 불가피하고 발치 후 상악동 세척술 필요합니다.
이미 치아와 상악동 부위는 개통되었을 것 같네요. 발치 후 천공이 문제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