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바닷물이 붉게 변하는 적조는 왜 생기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여름철만 되면 적조가 발생하여 물고기들이 떼 죽음을 당하는것 같은데요~ 그럼 바닷물이 붉게 변하는 적조는 왜 생기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임경희 전문가입니다.
적조현상은 바닷물의 온도가 상승하거나 비가 많이내려 영양분(질산염, 인산염, 무기염류 등)이 많은 강물이 바다로 유입되면서 플랑크톤이 살기 좋은 환경으로 개체수가 갑자기 많이 늘어나게 되요.
이러한 플랑크톤은 종류에 따라 붉은색, 황색, 적갈색 등으로 띠고 있어요.
적조현상은 플랑크톤의 개체수가 갑자기 늘어 바다의 색이 띠를 이루어 적색으로 바뀌는 현상이에요.
이렇듯 바다에 적조현상이 일어나면 플랑크톤이 산소를 많이 소모하게 되어 물속에 산소가 부족해지면서 독성을 가진 플랑크톤으로 수많은 물고기와 수중생물들이 떼죽음을 당하게 되면서 피해가 크게 되요.
1명 평가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인이나 질소는 우리가 잘알고 있는 플랑크톤의 먹이가 되는 것들입니다. 이런 플랑크톤이 먹이가 많아지면 무분별하게 증식을 하게 되는데 이런 증식과정에서 물속에 있는 산소들을 끊임없이 사용하게 됩니다.이러다보면 플랑크톤이 많아지면서 이런 플랑크톤이 많다보니 죽는 플랑크톤도 많아지게 되는 데 이런 플랑크톤의
시체가 모여 적색의 띠가 생기게 되는 데 이를 보고 적조현상이라고 하는 것입니다.
적조현상이 문제가 되는 이유는 플랑크톤이 끈임없이 산소를 소비하기 때문에 물속에 있는 용존산소량 즉 물속에
녹아있는 산소의 양이 적어지게 되고 또한 해수면은 플랑크톤의 시체로 인해 산소의 공급을 원활하게 하지 못하게
됩니다. 이로인해 물속에 있는 산소가 절대적으로 부족하게 되기 때문에 물속에 있는 생물들이 산소부족으로 인해
질식사하게 되는 것입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