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대출

소중한진도개40
소중한진도개40

금리가 2.25인데 더올린다는데 정말일까요?

지금 기준금리가 2.25인데 더올린다는데 정말일까요?

지금도 금리 높아서 대출받은거 금리 많이 올라가서 5프로도 넘든데 금리를 더올린다면 어떻게 하라는거지요? 얼마나 더 오를까요?.. ...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제도 한은에서 기준금리를 0.25% 올렸고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서 향후 2번이 올해 더 남았는데

      더 올릴것으로 보입니다.

    • 미국연준의 기준금리가 1.75%입니다..우리나라는 2.25프로이구요. 미국연준의 단계별 금리인상에도 불구하고 소비자 물가상승율는 9%대로 자이언트스텝 금리인상을 시행하면 미국금리가 역전되는현상이 발생되며 그에따른 우리나라 또한 추가금리인상은 불가피해보입니다. 대출금리가 갈수록 부담이 되는부분입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결론 먼저 말씀드리면 금리는 약 3%까지 추가 상승이 예상됩니다.

      미국이 기준금리를 올해안에 3%까지 상승한다고 예상되어

      우리나라도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시킬 것입니다.

      우선 다음주에 미국 FOMC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75~1% 까지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그렇게 되면 미국의 금리가 한국보다 높아지게 되고 우리나라도 다음 금리 인상시

      빅스텝을 연속으로 가져갈 가능성이 높습니다.

      금리가 다시 하락 반전하려면 내년 하반기는 되어야 가능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한은이 7월 빅 스텝에 이어 8·10·11월 기준금리를 0.25%포인트씩 추가 인상해 연말 기준금리가 3.0%에 도달할 것이라고 전망됩니다.

    • 안녕하세요. 정의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지속되는 물가상승과 미국의 금리인상의 영향으로 우리나라의 기준금리는 현재 2.25%에서 2022년내에 최소 0.25%씩 2~3번의 추가 인상하여 2.75%~ 3.0%가 예상됩니다. 그러나 대출금리 인상 폭은 기준금리보다 크지 않을 것이며 담보대출 기준으로 4.5%~ 5.0%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판단됩니다. (단, 개인신용평가에 따라 차이가 있고, 신규여신을 기준으로 볼 때 입니다. 기존 대출자는 금리인하요구권을 적극 활용할 때 입니다. )

      기준금리가 3%까지 올라갈 경우 금융기관의 대출금리도 함께 올라갈 것인데 지금까지 금융기관은 기준금리의 인상폭 보다 가산금리의 인상을 더 많이 했기 때문에 향후 가산금리의 인상폭이 크지 않아 보임으로 금융기관의 대출금리는 기준금리 3% 일 때 대략 담보대출 기준으로 4.5%~5% 수준으로 예상됩니다.

      최근 정부에서 이런 사실을 알고 있기 때문에 금융감독원을 통해 대출금리 인하를 금융기관에 적극 요구했고 일부 금융기관이 즉시 인하할 수 있었던 배경입니다.

      어떻게 보면 현재의 금융기관 담보대출 금리는 금융기관의 과다한 가산금리 인상으로 인해 더 과도하게 올랐다고 판단됩니다. 물론 대출금리를 과도하게 올린 이유는 정부의 책임도 있습니다. 2021년 하반기 부터 가계대출 축소를 금융기관에 요구함에 따라 금융기관간의 경쟁이 없어짐이 그 이유라 하겠습니다.

      다시 정부에서 가계대출 확대를 금융기관에 요구 한다면 금융기관간에도 경쟁적으로 대출를 추진할 것이고 금리(가산금리만)가 떨어짐으로 인해 대출자 느끼는 기준금리 인상에 따른 대출금리 상승의 채감 지수는 다소 감소할 것입니다.

      금융기관의 기준금리과 가산금리의 gap은 1.5%~2.0% 정도가 유지되는 것이 우리나라의 과거 기준이었습니다. 참고로 가산금리는 금융기관이 갖고 가는 비용으로 보시면 됩니다.

      그리고 아래 한국은행 기준금리 변동추이에 대하여 자료 남겨드립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