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포 밖 물질이 세포벽을 선택적으로 투과하나요?
식물세포 밖의 물질이 세포의 세포벽을 그냥 관통할 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세포막에 인지질 2중층 구조가 있듯이 세포벽에도 특정 구조가 있어서 그 구조에 의해 물질이 선택적으로 투과하는 것인가요?
고1인데 선생님께 질문드렸더니 다음시간에 발표하라고 하셔서 급히 올려봅니다ㅠ 도와주세요
결론부터 말씀드리면 식물 세포벽은 세포막처럼 선택적인 투과성을 가지지는 않습니다.
식물 세포벽의 주성분은 단단한 섬유질인 셀룰로오스입니다. 셀룰로오스 섬유들이 서로 엮여서 매우 질기고 튼튼한 구조를 형성합니다. 물론 셀룰로오스 외에도 헤미셀룰로오스, 펙틴, 리그닌 등의 물질들이 세포벽을 구성하는데, 이 물질들은 셀룰로오스 섬유 사이를 채우거나 섬유를 연결하는 역할을 하여 세포벽의 강도와 유연성을 조절하게 됩니다.
무엇보다 세포막과의 차이점은 세포벽에 작은 구멍, 즉 기공이 많이 존재한다는 것입니다. 이 기공의 크기는 비교적 큰 편이라서 작은 분자나 이온, 심지어 작은 단백질까지도 비교적 자유롭게 통과가 가능합니다.
반면에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층이라는특수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인지질 분자들의 소수성 꼬리 때문에 지용성 물질은 비교적 잘 통과하지만, 물이나 수용성 물질, 그리고 전하를 띤 이온들은 쉽게 통과하지 못합니다. 또한 세포막에는 다양한 막 단백질들이 박혀 있어 특정 물질을 선택적으로 세포 안팎으로 수송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러한 막 단백질 덕분에 세포막은 매우 정교한 선택적 투과성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다시 정리해 드리면 세포벽은 물리적인 장벽 역할을 주로 하며, 크기가 작은 물질들은 비교적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층과 다양한 막 단백질 때문에 선택적인 투과성을 가지는 것입니다. 따라서 세포 안으로 들어오는 물질은 세포벽을 비교적 쉽게 통과할 수 있지만, 최종적으로 세포 내부로 들일지 말지는 세포막의 선택적 투과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식물세포의 세포벽은 다공성 구조로 되어 있어 물, 이온, 작은 분자 같은 물질이 자유롭게 통과할 수 있지만 선택적으로 물질을 걸러내지는 않으며, 실제로 물질의 출입을 조절하는 역할은 인지질 이중층으로 구성된 세포막이 담당합니다. 감사합니다.
식물 세포벽은 대부분의 작은 분자와 이온을 자유롭게 통과시킬 수 있습니다. 주성분인 셀룰로스와 펙틴 등으로 이루어진 다공성 구조이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세포막은 인지질 이중층과 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어 물질의 크기, 전하, 극성 등에 따라 선택적으로 투과시킵니다.
안녕하세요. 김채원 전문가입니다.
세포밖의 물질은 세포벽이나 세포막을 선택적으로 투과하기도합니다.
보통 인지질 이중층으로 이루어진 세포막이 담당하는데 세포막에있는
이온채널이나 능동펌프와같은 특수한 구조물을 통해 특정 물질들은 세포안으로, 바깥으로 교환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