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이 365일하고도 0.25일이라던데 왜그러죠
제가 최근에 듣기로 1년이 365일하고도 0.25일 이라고 하더라고요 그래서 4년에 한번씩 2월29까지 있는거라던데 왜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용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태양 주위를 한바퀴 공전하는 시간을 공전주기라고 하며 지구의 공전주기는 항성일을 기준으로 약 365.2422일입니다. 편의상 365일을 1년으로 하고 0.2422일을 4회 적립하여 4년에 1회씩 2월에 29일을 삽입하여 이를 해결합니다. 남는 시간이 정확하게 0.25일이면 문제 없지만 0.2422일라는 점이 문제가 됩니다. 이렇게 되는 경우 시간이 지나면 하루가 부족하게 되어 4의 배수이지만 100의 배수가 되는 해는 2월에 28일까지 만 배치합니다. 그러나 1000의 배수가 되는 해는 29일까지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태양을 한 바퀴 도는 데
걸리는 시간은 실제로
365.2422일입니다.
우리는 1년을 365일로
계산하기 때문에 약 0.2422일의
차이가 발생합니다.
이 차이가 쌓여서 4년마다
약 1일 정도가 모이게 됩니다.
따라서 4년에 한번씩 윤년을
두어 1년을 366일로 하여
이 차이를 보정합니다.
윤년은 4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를 말합니다.
1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이 아니며 400으로
나누어 떨어지는 해는 윤년입니다.
2000년은 윤년이지만 1900년은
윤년이 아닙니다.
윤년을 두는 이유는
계절과 달력을 일치시키기
위해서입니다.
윤년을 두지 않는다면
계절이 점점 달력과 어긋나게
될 것입니다.
1월 1일이 겨울철이 아니라
여름철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1년은 365.2422일이지만 윤년을
두어 1년을 365일 또는 366일로
계산함으로써 계절과
달력을 일치시키고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년은 실제로 정확히 365일이지만, 지구가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은 약 365.25일입니다. 이 차이 때문에 윤년이 도입되었습니다.
일반적으로 매년 2월은 28일까지이지만, 윤년인 경우 2월에 1일을 추가하여 29일까지 만듭니다. 이렇게 윤년을 도입하는 이유는 지구의 공전 주기와 달의 주기를 조정하기 위해서입니다.
지구가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약 365.25일이기 때문에 4년마다 0.25일씩 쌓이게 됩니다. 4년마다 1일을 추가하면 이 "남는" 0.25일을 보상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윤년을 도입함으로써 우리는 지구의 공전 주기와 달의 주기를 조금 더 정확하게 맞출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1년이 365일이라는 것은 맞지만 실제로는 그보다 조금 더 긴 시간이 걸리는 것이 맞습니다. 이것은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이라는 달력 체계 때문입니다. 그레고리력은 1년이 365일이라고 정의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365일보다 조금 더 긴 시간이 걸리는 것이죠.
이것은 지구가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데 걸리는 시간이 정확히 365일이 아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는 약 365.24일이 걸리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평균적으로 1년이 365.25일이 되어서 조금 더 정확한 달력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하지만 이것도 완벽한 해결책은 아닙니다. 실제로는 365.24일보다 더 조금 더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약 100년마다 하루를 빼는 조정을 하고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평균적으로 1년이 365.2425일이 되어서 더 정확한 달력을 만들 수 있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가 태양의 주위를 한바퀴 도는데 정확히 365일이 아닌 365일 5시간 48분 46초가 걸리게 됩니다
그렇기에 이 365일에서 더 걸리는 시간을 모아 4년마다 한번 2월을 29일로 두어 하루를 늘리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