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울통불퉁침팬치
울통불퉁침팬치

"신토불이"의 어원이 어떻게 되나요?

우리가 자주 사용하고 트롯트 노래도 제목도 있는 "신토불이" 라는 단어가 일제 잔재물이라고 하는데요.

저도 이제 알았는데 신토불이가 어떻게 일제 잔재물이며 이말의 어원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잘난몽구스218
    잘난몽구스218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토불이는 불교에서 유래한 말로, 중국 당 시대의 천태종 승려 형계담연의 유마소기 및 북송시대 지원의 유마경락소승유기에 나오는

    二法身下顯身土不二由依正不二 故便現身即表國土 離身無土者荊溪云 此是法身身土不二之明文也 의 구절입니다.

  • 안녕하세요. 서호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전혀 아닙니다. 일제시대 잔재가 아니라 일본식 단어라는 주장이 있는 거에요

    신토불이는 불교용어에서 따온 말로

    二法身下顯身土不二 由依正不二故便現身即表國土 離身無土者荊溪云 此是法身身土不二之明文也 라고 하여 불교 경전인 유마경의 대표적인 주석중 하나 였으며

    305년 중국의 노산연종보감에도 나온 말입니다

    근대 직전까지 불교국가였던 일본에선 불교관련 연구가나 기록이 많기 대문에

    1907년 일본의 육군 약제감 이시즈카가 식양회 라는 조직을 만들면서

    승려한테 들은 신토불이를 선전 문구로 쓰기 시작해서 일상화 되었다고 합니다.

    그러다 시간이 지나서 1989년, 농협회장 한호선 씨가

    일본서적을 수입해 읽다가 좋은 문구라 생각해서

    자기 책에도 써먹어서 한국에서도 신토불이가 대중화되었는 설이 있습니다.

    일본식 단어라는 주장이 바로 여기서 나온 것 입니다.

    한국에서 신토불이를 쓴 최초의 기록은

    의사겸 철학자 였던 이을호선생의 저서인데

    이을호 선생은 독립운동하다 체포당한 경력이 있는 분이라 일제시대때 불교식 단어좀 썼다고

    일제잔재라 하면 안될 것이고

    한호선씨가 유행시킨걸 시작으로 봐도 1989년이면 이미 광복된지 한참 후인

    노태우 정권 시절인데 그걸 일제잔재라고 하긴 힘들죠

  • 안녕하세요. 김휴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불교의 불이사상에서 들어온 말이며 현대에와서 대중에게 알려진 것은 일본이 먼저 사용했으나 농협중앙회에서 우루과이 협상때 썼다고합니다.

    다산 정약용을 연구한 한학자 이을호 선생이 썼다고하는 내용이 있으며 누가 쓰던 나중에 쓰던 불교사상에서 유래되어 내려온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성어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토불이란 사람의 몸과 흙은 하나라는 뜻으로 우리가 섭취해야 할 식품은 바로 우리 땅에서 생산된 것이라야 우리 체질과 입맛에 맞고 건강에도 좋다는 뜻이라 할 수 있는데 '신토불이'라는 말은 1907년 일본 육군이 사용한 것으로 이 단어가 특히 일본 군대에서 나온 용어라는 것이라고 합니다. '신토불이'는 '우리 땅에서 난 우리 것'으로 다듬어 쓰게 된 것 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토불이라는 말은 불교의 불이사상에서 나온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말이며 신토불이라는 용어는 이런 불이사상과 다 산 정약용을 연구한 한학자인 이을호 선생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양미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토불이는 불교의 불이(不二)사상에서 나온 종교적이고 철학적인 말이며 이 단어는 이런 불이사상과 다산 정약용을 연구한 한학자인 이을호 선생님이 처음 사용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니 참고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