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붉은연어
붉은연어

우리나라 증시가 저평가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증시는 해외 다른 다라 증시보다 상당히 저 평가 되어 있습니다. 왜 그런가요? 별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먼저 분단국가입니다. 따라서 언제든 전쟁가능성이 있어 국가분단 리스크가 적용됩니다.

    두번째는 지배구조가 투명하지 못하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대기업, 지주회사의 경영이 윤리적으로 운영되지 않는것입니다.

    셋째는 강성노조 입니다. 한노총, 민노총 소속 기업의 경우, 파업시 막대한 손실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명근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지정학적 리스크로 증시가 저평가기도 하지만 기본적으로 오너 기업들이 많죠

    오너 기업들이 많으니 상속세 문제로 대주주들이 주가가 오르는걸 싫어합니다 그래서 주주친화정책을 안펼치죠

    그러니 이번에 벨류업 프로그램도 실행하는거구요 국장 탈출은 지능순이라는 말이 틀린말은 아닌거 같은 요즘입니다

    이와중에 민주당은 금투세를 내년 시행을 강행한다고 하니 한숨만 나오는 상황입니다

    요즘 주식시장이 너무 어렵습니다 저도 수익률이 안좋아서 너무 답답하네요

    질문자님은 부디 대응 잘하셔서 큰 수익 보시길 바랍니다

    그럼 오늘도 좋은 하루 되세요!!

  • 우리나라 증시가 저평가되는 이유는 여러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첫째, 순환출자 구조와 오너 중심의 경영 등 지배구조 문제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투명성 부족을 우려합니다.

    둘째, 기업들의 낮은 배당금 지급 비율로 인해 투자 매력이 떨어집니다.

    셋째, 북한 리스크 등 지정학적 불안 요인이 투자자들에게 위험 요소로 작용합니다.

    넷째, 제조업 중심의 산업 구조로 인해 혁신성과 성장성에 대한 우려가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그 이유는 일단 기업들의 지배구조가 매우 좋지 않고, 후진적이며, 최대주주(지배주주)가 주주들하고 나누기 보다는 자기 이익을 위해서 상장사를 이용하는 경향이 커 자연스럽게 저평가되는 것입닏다. 싼 거에는 싼 이유가 있는 법이지요.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는 상대적으로 소형주와 중소기업에 대한 투자 비중이 낮고, 대기업 중심으로 편중되어 있어 다양성이 부족합니다. 또 한국 증시는 외국인 투자자들의 비중이 높습니다. 이들이 자금을 철수하면 주가가 하락할 수 있으며, 이는 저평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채지훈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지정학적 리스크에 따른 코리아 디스카운트이지 않을까 보입니다.북한동향에 따른 뉴스로 증시가 영향을 받는일이 일년중에 너무나 잦고 내수가 상대적으로 자끼 때문인것도 한 이유인듯 싶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가 저평가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불투명한 기업 관행, 비효율적인 규제, 배당 정책의 미흡 등이 있습니다. 또한, 북한과의 지정학적 리스크도 한몫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부동산 정책의 실패와 부자만을 위한 정책이라는 인식도 한국 증시 저평가의 요인 중 하나입니다. 정부의 부동산 정책이 실수요자보다는 투기세력과 부유층에 유리하게 작용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이러한 정책 실패는 시장의 신뢰를 떨어뜨리고, 경제 전반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윤식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는 우선 북한과의 지정학적 위치에 따른 디스카운트 요인이 있고 지배구조가 재벌가 중심으로 되어 있어 주주에 대한 환원이 부족합니다. 이에따라 정부는 밸류업 프로그램을 통해 기업의 주주환원을 늘리고 우리나라의 저평가 기조를 완화하는 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한국 증시가 다른 나라에 비해 저평가된 이유는 여러 가지 구조적 문제와 제도적 한계 때문입니다. 한국 기업들은 배당성향이 낮고, 자사주 매입이나 소각과 같은 주주 친화적 정책이 부족하여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습니다. 또한, 대주주들이 지배구조를 통해 사익을 추구하거나 주주 가치를 희생시키는 경향이 있어 외국인 투자자들의 신뢰를 떨어뜨립니다. 상속세와 같은 높은 세금 제도 역시 기업 오너들이 주가를 높이는 동기를 감소시켜 증시의 전반적인 저평가를 초래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우리나라 증시가 저평가 되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에서 원인을 찾아볼 수 있습니다.

    모든 상장 기업들이 대주주 위주로 기업을 운영하고 있기 때문에 소액주주들이 어렵다는 것이고

    또한 지정학적 리스크도 한 몫하고 있습니다.

    바로, 북한이 바로 위에 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우리나라 증시가 저평가되는 이유는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글로벌 경제의 불확실성과 국내 경제 성장 둔화가 가장 주된 이유 입니다.

    더불어 기업의 실적이 부진하고, 정치적으로 불안한 상황, 환율 변동, 투자자 심리 등 복합적인 요인들이 주가에 반영 되면서 증시가 저평가 되고 있습니다.

    참고가 되셨으면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우선 정책적으로 외국인이 투자하기에 공매도를 풀었다가 금지했다가 하는 점이 있고

      금투세가 도입이 될지 안될지 불명확한 상태입니다

    • 이러한 상황에서 수급이 더 들어오기 힘들기 때문에 저평가 되어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또한 외국 기업의 경우는 주주 환원에 집중을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들은 주주보다 기업 오너일가를

      위하여 움직이는 케이스가 더 많다는 것이 큰 단점이고 저평가 이유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주주들에 대한

    자사주 소각 및 주주환원 등이 상당히 떨어지며 더불어서

    지배구조 등의 문제로 저평가 받는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기업문화가 상대적으로 배당금 지급 보다는 잉여금 비축쪽으로 되어 있고, 주식 회사보다는 가족 경영이 많다보니 회계적으로도 오너리스크가 많이 발생합니다. 또한 기업간 순환출자가 많아 상대적으로 위험도도 높다보구요

  • 안녕하세요. 윤지은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가 저평가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첫 번째로, 우리나라의 기업 지배 구조 문제와 관련이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대주주의 경영권 유지와 이사회 구조가 외국 투자자들에게 불투명하게 보일 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는 외국인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에 대한 신뢰를 다소 낮게 평가하는 이유 중 하나로, 주가가 상대적으로 낮게 평가되는 결과를 초래합니다. 특히 배당 성향이 낮거나, 주주 친화적이지 않은 경영 방식도 저평가의 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두 번째로는, 글로벌 경제와의 연결성입니다. 한국 경제는 수출 중심의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글로벌 경기 변동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와 같은 주력 산업의 수출 의존도가 높아, 글로벌 수요나 지정학적 리스크가 발생할 때 증시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불확실성 요인들이 투자자들로 하여금 한국 시장에 대한 위험 요소를 높게 평가하게 만듭니다.

    세 번째로, 한국 증시는 장기적으로 개인 투자자들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지만, 여전히 외국인 자금의 유입이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시장의 변동성과 지정학적 리스크를 높게 평가하며, 이에 따라 투자 매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한국 증시는 다른 국가 증시에 비해 상대적으로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열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가 선진국 증시보다 저평가되는 이유는,

    지배구조 문제:

    한국 기업들은 대주주와 경영진이 지배적인 경영권을 행사하는 경우가 많고, 이는 소액주주들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높은 변동성:

    한국 증시는 글로벌 경제 및 지정학적 이슈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이는 높은 변동성을 초래합니다.

    특히 북한과의 지정학적 리스크가 지속적으로 존재해 투자자들에게 불안감을 줄 수 있습니다.

    배당 성향:

    투자자들은 기업이 배당을 통해 수익을 공유하기를 기대하지만, 한국 기업들은 보유 현금을 재투자하거나 대주주의 이익에 더 집중하는 경향이 있어 배당 수익률이 낮습니다.

    정책 리스크:

    한국 정부의 경제 정책, 규제 변화, 그리고 금융 시장에 대한 개입 등이 시장의 불확실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투자자들은 정책 변화에 대한 예측이 어렵다고 느끼면 투자를 꺼리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황태현 경제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증시가 해외 다른 나라 증시보다 저평가되는 이유에 대해 궁금해하시는 것 같아요. 한국 증시가 저평가된 이유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이 점들을 하나씩 설명해 드릴게요.

    첫째, 지배구조와 기업 투명성 문제가 큰 이유로 꼽힙니다. 한국 기업들은 대체로 대기업 중심의 지배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이로 인해 소액주주들이 보호받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대주주의 권한이 강력하게 행사되면서, 기업의 이익이 소액주주에게 공정하게 돌아가지 않거나, 배당 성향이 낮은 경우가 많아요. 이러한 이유로 외국인 투자자들은 한국 시장을 덜 매력적으로 생각할 수 있고, 이는 주식의 저평가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둘째, 높은 변동성과 정치적 리스크도 중요한 요인입니다. 한국 증시는 변동성이 크고, 지정학적 리스크(예: 북한 문제)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투자를 하기에는 부담스러울 수 있습니다. 이러한 리스크 요인은 시장이 과도한 할인율로 거래되게 만드는 원인 중 하나입니다. 외국인 투자자들은 다른 시장에 비해 리스크를 반영하여 한국 주식을 상대적으로 저렴하게 평가할 수 있습니다.

    셋째, 코리아 디스카운트(Korea Discount)라는 용어로 표현되는, 고질적인 문제들이 있습니다. 한국 기업들은 이익을 재투자하는 경향이 강해, 주주들에게 배당을 통해 수익을 돌려주기보다는 사내 유보금으로 남겨두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로 인해 외국인 투자자들이 볼 때, 한국 주식의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넷째, 글로벌 경제와의 연관성도 중요합니다. 한국은 수출 의존도가 높은 경제 구조를 가지고 있어, 글로벌 경제의 상황에 매우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특히, 반도체, 자동차, 조선 등 특정 산업에 의존하는 부분이 커서, 글로벌 수요와 공급 상황에 따라 주가 변동이 크기 때문에 장기적인 투자 매력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다섯째, 낮은 배당 수익률과 주주 친화 정책의 부족이 있습니다. 미국이나 유럽의 주요 증시와 비교했을 때, 한국 기업들은 상대적으로 낮은 배당을 제공합니다. 이는 장기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이지 않을 수 있으며, 주가가 저평가되는 요인 중 하나입니다. 최근에는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들이 나오고 있지만, 여전히 외국인 투자자들이 만족할 만한 수준은 아닐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들로 인해 한국 증시는 해외 증시보다 저평가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배구조 문제, 정치적 리스크, 글로벌 경제 의존도, 낮은 배당 수익률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투자자들이 한국 시장을 더욱 신중하게 바라보게 되는 것이죠.

    도움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곽주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 증시가 지속적으로 저평가되는 현상은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주요 원인으로는 불투명한 기업의 지배구조 문제, 지정학적 리스크 등 외부환경 요인, 규제의 불확실성 등이 거론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