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장인 건강검진과 일반 건강검진의 차이
2년에 한번씩 짝수년에는 짝수년생
홀수년에는 홀수년생 국가에서 무료로 해주는
일반 건강검진과
4대보험 가입자가 받는 직장인 건강검진과
어떤 차이가 있나요??
건강검진 받는 항목들에 차이가 있나요??
예를들어 직장인 건강검진은 위검사나 대장검사가 무료로 포함이 되어있다거나의 식으로요
안녕하세요. 남현아 보험전문가입니다.
상시근로자가 있는 모든 사업장의 사무직은 2년에 1회, 비사무직은 1년에 1회씩 의무검진 입니다.
검사항목에는 신체계측, 청력검사, 시력검사, 혈압측정, 흉부방사선검사, 혈액검사,
빈혈, 혈당, 간기능, 신장기능, 요단백 등이 포함됩니다.
의무검진은 모두 무료 입니다.
이외 추가검사비용이나 수면마취비용은 본인 부담 입니다.
검사항목은 동일한 수준 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원태 보험전문가입니다.
국가에서 실시하는 건강검진은 나이에 따라 검진종류가 정해져 있으나 직장에서 하는 건강검진은 그직장에서 원하는 또는 직장에서 정해진 검사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사실 직장인 건강검진의 경우에는 회사에서 지원을 해 주기에 비용이 따로 나오거나 하지 않습니다.
일반은 검사 추가하면 비용이 나오겠죠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진오 보험전문가입니다.
우선 직장에서 하는 건강검진이나 일반 검진이나 진행하는 검사는 동일합니다.
단, 만약 직장인 종합검진의 경우에는 매년 내시경, 뇌파 검사 등에 대한 검사 포함되는 것이구
그에 반해 일반검진은 대상일 때만 검사를 합니다.
결론은 국가에서 하는 검진은 주기에 맞게 하는 일반검진이지만,
직장인이 받는 종합검진은 일반검진+추가 검사를 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수빈 보험전문가입니다.
국가에서 시행하는 건강검진은 만 40세 이상 성인과 일부 특정 연령대만 무료로 제공됩니다.
직장인 건강검진은 회사에서 지원하며 정기적으로 실시합니다. 건강검진센터에서 검사를 받을 수 있고 항목은 혈액검사 신체계측 검진 등 다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