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계공학에서 유체 베어링 시스템이 마찰을 줄이고 회전 안정성을 높이는 원리는?
안녕하십니까.
유체 베어링은 오일막으로 금속의 접촉을 방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이때 마찬 손실을 줄이며 회전 부품의 내구성을 높이게 되는 구조적 원리에 대해서 전문가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유체 베어링은 축과 베어링 사이에 윤활유 (오일 또는 공기)막을 형성해 금속 간 직접 접촉을 방지하는 구조입니다. 회전시 베어링 내부의 미세한 틈새에 압력이 생기며, 이 압력이 축을 떠받쳐 축이 부상한 상태로 회전하게 됩니다. 이를 유체 동압 또는 정압 원리라고 합니다. 금속 간 마찰이 거의 없어 마찰열과 마모가 크게 줄고, 오일막의 점성력이 진동을 흡수해 회전 안정성이 높아집니다. 또한 오일막 두께와 압력 분포를 정밀하게 제어할수있어 고속 회전 장비에서도 안정된 운전이 가능합니다. 이처럼 유체 베어링은 무마찰, 고정밀, 고내구성이 요구되는 터보기계, 스핀들, 반도체 장비 등에 널리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황성원 전문가입니다.
오일막은 금속 표면 사이에 형성되어 직접적인 금속 간 접촉을 차단하게 됩니다. 이 막은 점성력에 의해 하중을 분산
시키며 마찰력을 유체 내부의 전단저항으로 전환시킵니다. 그 결과 마찰계수가 낮아져 마찰손실이 크게 줄어들게
됩니다. 또한 금속 표면의 마모를 방지하여 부품의 손상을 억제하게 됩니다.
이러한 유체윤활 원리는 회전 부품의 내구성과 효율을 향상시키는 핵심 구조적 메커니즘이라고 보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유체 베어링 자체가 윤활유의 점성력으로 축과 베어링 사이에 형성된 유막이 하중을 지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회전할 때 유체가 펌프 작용을 일으키면서 압력도 생기고, 이 압력의 분포가 금속과의 접촉 자체를 차단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죠.
겨예 마찰이 유체 마찰로 전환이 되었기 때문에 마모나 열 발생을 최소화 하는 것입니다. 그리고 유막의 자동 자기정렬 효과로 인해서 회전축의 진동 흡수와 안정성 향상이 이루어지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