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무역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모두가사랑이에요실금나와뚝방전설

미국으로 공장을 짓는 것이 정말 해법인가요

안녕하세요. 관세협상 등 미국과의 관계가 경제적으로 힘듭니다. 미국은 본국으로의 공장들을 짓는 것을 요구하고 그것을 원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궁금한 점이 있는데요. 공장을 짓는다고 해서 그쪽에서 근로자들이 그쪽 업종들을 모두 일할 수 있을지 궁금합니다. 왜냐하면 공장이라는 것은 3 D 업종일 수도 있기 때문에 미국 근로자들이 그쪽에서 모두 일을 하게 될까요? 그리고 그것에 대한 인건비가 엄청날 텐데 그 인건비가 감당될 수 있을까 궁금하고요. 그렇다면 인플레이션이라는 것은 외부 요인이 아니라 내부 요인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을 여지가 충분하다고 생각하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진솔 관세사입니다.

    네 맞습니다. 말씀하신 모든 부분들이 사실상 문제라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미국에 공장을 짓는 것이 쉽지 않습니다.추가적으로 현재 관세로 인하여 공장을 건설한다고 하더라도 관세 정책이 끝났을 수도 있으며 트럼프가 퇴임하였을 수도 있습니다. 아울러 이와 관련하여 인건비 운영비용 등의 문제도 있으며 여러가지 고려하여야될 요소가 많기에 지금 당장 이를 건설하기에는 역부족이라고 판단됩니다. 다만 리스크 헷징 차원에서 일부 공장을 증설하거나 소규모 공장을 짓는 건 가능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치호 관세사입니다.

    미국이 자국 내 제조시설 투자를 강하게 요구하는 건 단순한 생산 이전이 아니라 정치적 경제적 효과를 노린 움직임입니다. 공장이 들어서면 고용 창출이라는 눈에 띄는 성과가 생기지만 실제로는 해당 업종 특성상 미국인 근로자들이 모든 공정을 맡기는 어렵습니다. 일부는 기술력 문제 일부는 근로 기피 현상 때문입니다. 결국 이민 노동자나 외부 인력을 활용할 가능성이 큽니다. 문제는 인건비 구조입니다. 우리나라보다 훨씬 높은 임금 수준이 생산비에 반영되고 이는 제품 단가를 끌어올립니다. 소비자 가격이 오르면 물가 압박이 생기고 이는 내부 요인으로 인한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집니다. 설비 이전 자체가 해법이 아니라 또 다른 비용 부담을 안길 수 있는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재상 관세사입니다.

    미국의 관세정책 등 보호무역주의 정책에 따라 미국정부는 미국내 투자를 지속적으로 유도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미국으로의 투자가 어느정도 강제된 상황에서 협상을 원하는 정부들은 선택지가 없는 상황이었다고 보여집니다.

    다만, 미국내 3d 업종 자체가 주로 이민 노동자들이 담당하고 있어 현지 근로자만으로 충분한 인력 수급이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도 있고, 높은 인건비로 기업들은 부담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지고, 이는 인플레이션 압박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실제 어떻게 상황이 돌아가는지에 대한 부분은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됩니다.

    감사합니다.

  •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리쇼어링, 즉 자국 내로의 제조업 회귀 정책은 단순히 공장을 짓는 데 그치지 않고, 경제·정치적으로 여러 가지 복잡한 영향을 동반 할 것입니다. 순히 공장을 짓는다고 해서 현지 인력으로만 채용이 가능하다고 보기 어렵고, 이로 인해 이민노동자나 외국인 노동력에 의존하게 될 가능성도 클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미국의 리쇼어링 정책은 중장기적으로는 공급망 안정화, 기술 자립 등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지만, 단기적으로는 인건비 상승과 인력 수급 문제, 그리고 인플레이션 압력이라는 부작용을 동반할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