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시장에서 락업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락업이라는 것이 잠그다는 의미이니
락업이 어떤 건지도 그리고 반대의 락업해제도
대충 그 의미를 알겠습니다
그런데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주식이 락업이 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주식시장에서 락업이 되는 조건은 어떤 것들이고
해제가 되기위해선 어떤 조건들이 맞아야 락업해제가 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기업의 주식이 락업이 되는 이유는 일반적으로 기업의 주요 주주나 투자자들이 특정 기간 동안 주식을 판매할 수 없도록 제한하는 것입니다. 이는 기업이나 투자자들이 긴기간 동안 주식 시장을 안정시키기 위해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진영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락업'이란 특정 주식이 일정 기간 동안 매매가 금지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주로 IPO(Initial Public Offering, 초기 공개)나 인수합병, 유상증자 등의 이벤트가 있을 때, 최대주주 등 특정인이 가진 지분을 산 물량을 해당 주식이 상장한 뒤에도 주식시장에 매도하지 못하도록 예탁결제원과 의무보호예수 계약을 체결하여 일정 기간 동안 묶어두는 것입니다.
락업이 설정되는 주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시장 안정성 유지: 락업은 주가의 과도한 변동성을 완화하는 역할을 합니다. 만약 모든 주주들이 IPO 후 바로 주식을 팔 수 있다면, 주식의 공급이 증가하면서 주가가 급락할 수 있습니다.
- 소액투자자 보호: 회사에 대한 정보 접근이 대체로 용이한 최대주주 등이 지분을 대량 매각하면서 생긴 주가 변동으로 개미들이 입을 수 있는 피해를 방지하고, 기업 실적을 부풀리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합니다.
락업이 설정되는 주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신규상장 때 최대주주 지분: 6개월 (코스닥 기술성장기업, 외국기업, 신속이전기업 등은 상장일로부터 1년).
- 신규상장 전에 매입한 주요주주 지분: 6개월 (상장예비심사청구일 1년 이내 제3자배정으로 주식 취득 또는 최대주주 주식을 산 경우).
락업이 해제되는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 락업 기간 만료: 락업 기간이 만료되면, 해당 주식은 자동으로 해제됩니다. 일반적인 락업 기간은 90 ~ 180일입니다.
- 조기 락업 해제 조건 충족: 일부 경우에는 특정 조건을 충족하면 락업이 조기에 해제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합병 후 30일 중 20일 이상 이상 주가가 12.5불 이상일 경우 33%의 물량이 해제되고, 30일 중 20일 이상 주가가 15불 이상인 경우에는 50%의 락업 물량이 추가로 해제될 수 있습니다.
락업 해제 후에는 주가에 변동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락업 해제일이 되면 기관 등이 보유한 많은 물량이 시장으로 쏟아지게 되어 있어서 보통 주가가 하락할 수 있습니다. 이를 알고 있는 개인투자자들은 락업 해제일 전에 주식을 매도해버리곤 합니다. 그러나 이는 항상 그런 것은 아니며, 주식의 수급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락업은 주식 상장 후 일정기간 주식 매매를 금지하는 것으로, 상장 전 지분을 보유한 투자자나 기관들의 주식이 상장 직후 주식시장에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장치라고 보시면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종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의 락업은 주로 IPO 후 초기에 특정 주주들이 주식을 팔 수 없게 제한하는 경우를 의미합니다. IPO후에 해당 주식을 대량으로 소유하고 있는 사람이 주식을 한 번에 매도하게 되면 혼란이 생길 수 있기에 이를 방지하기 위함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락업은 간단히 말해 상장 후 매매가 금지되는 것을 말하는데 락업기간을 설정하는 이유는 상장 전 기업에 투자한 투자자들 또는 청약 때 기관들이 매매한 주식의 매도 물량이 쏟아져 나오는 것을 방지 하기 위해서 라고 합니다. 락업 기간인 90-180일이 종료되면, '락업 해제'가 발생하며 주주들은 자신들의 주식을 팔 수 있게 됩니다. 이 때, 추가적인 주식이 시장에 공급될 수 있으므로, 이는 주식의 공급과 수요 균형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옥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주식시장에서 주식을 락업하는 것을 보호예수라고 하는데, 이러한 보호예수를 하는 주된 원인은 유상증자를 하는 경우에 하거나 최대주주가 주가의 안정을 위해서 본인의 주식을 보호예수를 거는 경우가 있어요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주식 시장에서 주식이 락업되는 조건에는 다음과 같이 있습니다.
기업이 M&A 혹은 상장 등을 할 때에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대주주들에게 주식을 매도하지 못하도록 해야 할 때 락업을 걸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락업은 향후 기업가치가 긍정적이어서 주가가 더 오를거로 예상해 락업을 걸고 안팔겠다는 의미가 많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하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락업이란 기업 공개 시에 락업 기간은 기업이 상장된 후 대주주가 주식을 매각할 수 없는 기간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매매 제한이 걸리는 락업기간은 보통은 3~6개월 정도입니다. 락업 만료일은 계약 기간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일정 기간이 지나면 락업이 해제가 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