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전기·전자

그리워하면언젠간만나게되는
그리워하면언젠간만나게되는

전기가 힘을 갖는 경우를 알려주시기 바랍니다.

전기가 힘을 갖는 경우가 있습니다.

평소에는 힘을 발휘하지 않는데 나중에는 힘을 발휘하더라고요

왜 처음에는 힘이 안생기는데 힘이 생기는건가요?

조명같은것도 콘센트같은것도 입니다 갑자기 들어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전기가 힘을 갖고 작동하기 위해서는 회로가 완성되어야 합니다. 전기 장치가 꺼져 있을 땐 회로가 열린 상태여서 전류 흐름이 없지만, 전원을 켜면 회로가 닫히면서 전류가 흐르고 전기 에너지가 기계적, 열적, 광학적 형태로 변환됩니다. 예를 들어, 전등 스위치를 켜면 회로가 닫히고 전기가 흐르면서 빛을 발하게 됩니다. 전기 콘센트의 경우도 플러그를 꽂고 기기를 작동시키는 순간 회로가 완성되고 전기가 힘을 발휘합니다. 초기 상태에서는 전기 흐름이 없기 때문에 힘이 발휘되지 않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전기는 기본적으로 전위차가 있을 때만 일을 할 수 있습니다. 전선이나 회로에 전압이 걸리면 그 전위차 때문에 전류가 흐르면서 일을 하게 됩니다. 초기에는 스위치가 열려 있거나 회로가 완전히 연결되지 않았을 경우 전류가 흐르지 않아 일을 하지 않지만, 스위치를 켜거나 회로가 연결되면 전류가 흐르면서 전기가 힘을 발휘하게 됩니다. 조명이나 콘센트의 경우도 스위치를 통해 전류가 흐를 수 있는 상태를 만들어 주는 것과 같습니다.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

  •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힘을 갖는 경우는 전기 회로가 연결되어 전류가 흐르게 될 때 입니다.

    회로가 차단되거나 연결이 불안정하다면 전기가 흐르지 않다가, 회로가 연결되면 전기가 힘을 발휘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문가입니다.

    전기는 도통되었을때 힘을 같습니다.

    즉 플러스와 마이너스사이에 전위차로 전류가흐름린 전기가 흘러 동력장치를 돌리면 힘을 갖는ㄱ니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형진 전문가입니다.

    하나의 예를 들어보면 형광등 같은 경우 꺼져있을때는 전류가 흐르지 않아 온도가 낮은 상태일겁니다.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안정적인 전압이 인가되면 서서히 열이 올라 밝아 지는 것이죠..

    다른 기기들도 마찬가지입니다.

    처음부터 전류가 흐르는것이 아니기 때문에 처음 전류가 흐르게 되면서 안정적인 공급까지는

    아주 약간의 시간이 필요합니다. 그 시간이 잠시인데 일단 안정화 되면 정상적인 기기 작동을 하게됩니다.

    참고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기가 처음에는 흐리지 않다가 나중에 흐르면서 작동을 하는 이유는 전기 회로가 처음에는 닫히지 않아서 흐르지 않다가 회로가 완전히 연결되면 전류가 흐르면서 에너지가 전달되기 때문입니다. 예를 들어 조명이나 콘센트에 전력이 들어오지 않다가 스위치를 켜거나 회로가 연결되면, 전류가 흐르기 시작하면서 전기적 힘이 발생해 기기가 작동합니다 이는 전류의 흐름이 전기적 힘을 만들어내는 원리로 회로가 닫히는 순간부터 힘이 발휘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차단기를 올리고 안올리고 차이 인것 같습니다. 차단기를 올리고 스위치를 올리면 전등에 힘을 받게 되고,

    콘센트는 차단기를 올리면 전기가 투입이 됩니다. 대기전력 스위치가 있다면 스위치를 눌러줘야 전원이 투입됩니다.

    감사합니다.